‘성과·한계 뚜렷’ 한동훈의 한 달…‘보수 확장’ 기대감-‘리더십 구축’ 숙제 [이런정치]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22일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헤럴드경제=김진 기자]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23일 취임 한 달을 맞았다. 7·23 전당대회에서 당대표로 선출된 이후 민생·경제 정책을 적극 제안하며 집권여당의 면모를 강조하고, 대통령실·정부와 다른 목소리를 내며 여권 스펙트럼을 넓힌 것은 성과로 평가된다. 하지만 정책위의장 인선 문제 등을 놓고 친윤석열(친윤)계와 ‘거리 좁히기’에 실패하면서 남은 임기 리더십 구축이 대표적인 숙제로 부상했다.

한 대표는 취임 직후 당 최고의사결정기구인 최고위원회의가 열릴 때마다 ▷금융투자소득세(금투세) 폐지 ▷여름철 취약계층 전기료 감면 ▷티메프(티몬위메프) 피해 구제 ▷난임 지원 확대 등 민생 관련 정책을 적극적으로 제안했다. 다수 의석을 지닌 더불어민주당의 협조가 필요한 금투세 폐지를 제외한 나머지는 한 대표의 제안 이후 당정 차원의 논의가 이뤄져 실제 추진되거나 정부 대책 발표로 이어졌다. 여권의 대표 ‘스피커’인 그의 발언마다 여론의 집중을 받으면서, 소수지만 예산 집행 및 정책 실행력을 갖춘 집권여당의 강점이 부각됐다는 평가를 받는다. 한 국민의힘 관계자는 “여소야대 국회에서 당 정책이 나올 때마다 주목을 받은 건 오랜만”이라며 “대선주자급 당대표의 강점인 파급 효과”라고 말했다.

한 대표는 비상대책위원장으로서 이끈 22대 총선의 어젠다였던 ‘격차 해소’를 자신의 대표 브랜드로 키우는 작업에도 착수했다. 당 격차해소특별위원회를 신설하고 국민의힘 최다선인 6선의 조경태 의원을 위원장에 전날 임명했다. 특위는 이민자, 원·하청, 정규직·비정규직 갈등 등 주로 진보 진영에서 다뤄졌던 문제까지 살필 예정이다. 앞서 ‘제3자 추천’ 채상병 특검법, 민생회복지원금(전 국민 25만원 지원) ‘선별 지원’ 등 당정과 다른 목소리를 냈던 한 대표의 색채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최근 이재명 대표가 일부 세제 완화를 언급하며 중도 포섭에 나선 것처럼, 한 대표의 행보가 ‘보수 외연 확대’를 가져올 수 있다는 기대감이 여권에서 감지된다.

다만 리더십 구축은 숙제다. 전당대회 내내 여권 주류인 친윤석열(친윤)계와 각을 세웠던 한 대표는 임기 초반부터 정책위의장 인선을 놓고 친윤계와 신경전을 벌였다. 친윤계 정점식 의장을 놓고 교체를 주장한 친한계와, 유임을 주장하는 친윤계 간 감정의 골이 깊어졌다. 정 의장이 사퇴를 결단한 이후에도 지도부 요직은 전부 한동훈 비대위 및 당대표 선거캠프 인사로 채워졌다. 이는 곧 원외 대표인 한 대표가 인사를 통한 ‘우군 확보’에 실기했다는 지적으로 이어졌다. 초선·수도권·원외 중심의 친한계와 다선·비수도권·원내 중심의 친윤계 간 신구(新舊) 갈등 양상이 고착화했다는 평가도 나왔다.

문제는 원내 대다수를 차지하는 친윤계 협조 없이 한 대표의 정책이 동력을 얻기 힘들다는 점이다. 당장 채상병 특검법, 민생회복지원금 등이 다뤄질 것으로 전망되는 이재명 대표와의 회담에서 승기를 잡으려면 원내 관계 재설정이 불가피하다. 영남의 한 재선 의원은 “정책위의장을 교체하는 과정이 거칠었는데, 지도부도 자기 사람만 쓰는 형국”이라며 “(공천권을 행사할) 선거도 없으니 대부분의 의원들이 적극 지원하기보다 관망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초반 타이밍을 놓쳤기 때문에 이제는 1대 1로 의원들을 만나 설득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 밖에 한 대표의 격차 해소가 이재명 대표의 ‘기본소득’, 오세훈 서울시장의 ‘안심소득’ 등 대선 공약으로 구체화할 수 있을지도 주목 받는 지점이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