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노조가 오는 29일 파업 돌입을 예고한 가운데 서울 국립중앙의료원에 노조 현수막이 걸려 있다. [연합] |
[헤럴드경제=박혜원 기자] 전공의 이탈에 따른 의료공백이 장기화하는 가운데 간호사를 비롯한 병원 노동자들마저 파업에 돌입하며 혼란이 커질 전망이다.
28일 의료계에 따르면 민주노총 산별노조인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보건의료노조)는 노사 협상이 타결되지 않을 경우 오는 29일 오전부터 진료정상화, 임금인상 등을 요구하는 총파업에 돌입하기로 했다. 보건의료노조는 간호사를 중심으로 간호조무사, 의료기사, 약사, 치료사, 요양보호사 등 의료부문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이 소속돼 있다. 조합원 규모는 8만2000명에 달한다.
보건의료노조 총파업 대상 의료기관은 모두 61곳이다. 절반인 31곳이 지방의료원이나 국립중앙의료원 등 공공병원이며 19곳이 사립대병원이다.
다만 올해 파업 참여 사업장은 지난해 보건의료노조가 이틀간 벌였던 총파업 당시 참여한 140곳보다는 절반에 못 미치는 수준이다. 하지만 의료계에서는 전공의 이탈로 간호사 등 다른 의료 직역의 역할이 커진 만큼 파업으로 인한 의료 현장의 혼란이 클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보건의료노조는 사측과 정부에 ▷조속한 진료정상화 ▷의사들의 집단행동으로 인한 책임 전가 금지 ▷불법의료 근절과 업무범위 명확화 ▷인력 확충 ▷총액 대비 6.4% 임금 인상 등을 요구하고 있다.
보건의료노조는 의사들의 불법적인 집단 행동이 가져온 경영 악화를 불러왔음에도, 병원 측이 간호사 등에 장기 휴직과 같은 고통 분담을 요구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이들은 지난 24일 파업 가결 소식을 알리며 “화장실 갈 시간도 없이, 끼니를 거르고, 폭언·폭행에 시달리며 의사의 빈자리를 채우기 위해 몇 배로 늘어난 노동강도에 번아웃되면서 버텨왔다”며 “의사들의 집단 진료거부가 부른 의료공백으로 인한 경영위기 책임을 더 이상 보건의료 노동자들에게 떠넘기지 말라”고 말했다.
정부는 상황을 예의주시하면서 응급·중증 등 필수진료에 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감시할 계획이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전날 관계 장관회의에서 “전공의 공백과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의료현장의 부담이 커지는 상황에서 보건의료노조가 총파업을 결정한 것에 대해 매우 안타깝게 생각한다”며 “보건의료인들의 어려움을 너무나 잘 알고 있고, 더 나은 환경에서 근무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