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본관에 투사된 강이연 KAIST 산업디자인학과 교수팀이 제작한 작품 ‘유니테 다비타시옹:테크노스피어 XD lab 2024’ [KAIST 제공] |
과학계에서는 지구 온난화와 같은 기후 변화 등 인류 활동으로 초래되어 오래도록 흔적을 남기는 지구 환경의 변동을 지칭하기 위해 ‘인류세(人類世)’라는 지질시대 용어를 제안한 바 있다. 이에 KAIST는 2~4일 국제 연구단체 ‘인류세실무단’의 한국인 위원 박범순 과학기술정책대학원 교수(인류세연구센터장)를 주축으로 ‘제2차 국제 인류세 심포지엄’을 개최한다고 2일 밝혔다.
‘인류세를 투사하기: 다학문적 접근’을 주제로 열리는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개막식 당일을 포함해 3일간 인류세에 관한 토론과 미디어 아트 특별전이 이어진다. 산업 발전 이후 인간의 활동은 지구 시스템을 유례없이 빠른 속도와 거대한 규모로 변화시키고 있지만, 우리 사회의 발전상은 이를 감당하기엔 모자란 실정이다.
KAIST는 인류세의 개념을 통해 이러한 변화를 감지하는 과학적 방법을 탐구하고, 인간뿐 아니라 비인간 존재와도 함께 살아가는 방식을 논의하기 위해 이번 심포지엄을 준비했다.
개막식에서는 인류세 연구의 국제적 석학들의 기조 강연이 이어졌다. 박범순 센터장은 학문 간의 경계를 넘나드는 것이 인류세 연구에 필수적인 이유와 이를 위해 필요한 방법론을 논의했다.
마틴 헤드 캐나다 브록대 교수는 인류세의 시작점을 20세기 중반으로 설정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 ‘대가속(Great Acceleration)’의 개념을 다시 짚어봤다.
위르겐 렌 독일 막스플랑크 지구인류학연구소장은 인류세 개념에 대한 과학계의 결정이 인류의 자기 성찰과 지구 시스템에 대한 책임의 문제와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논의했다.
개막식 후에는 심포지엄의 주제인 ‘인류세를 투사하기’를 미디어 아트로 만나는 특별전이 개최됐다.
강이연 KAIST 산업디자인학과 교수팀이 제작한 두 개의 영상 작품이 KAIST 본관 벽면에 투사, 인류세의 모습과 인류가 지구에 가하는 행위를 강렬하고 역동적으로 선보였다.
심포지엄 둘째 날인 오는 3일에는 지구과학, 생물학, 전기공학, 모빌리티 연구, 인문학, 사회과학, 산업디자인, 뉴미디어 아트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발표 세션이 진행된다. 이를 통해 인류세를 감지하고, 그 안에서 살아가기 위한 기술적이고 사회적인 해법을 함께 모색한다.
박범순 센터장은 “지금은 인류세 연구가 새로운 단계로 진입한 시점이다. KAIST는 앞으로도 활발한 국제협력을 통해 인류세 개념을 더욱 정밀하게 정의하고 활용 가치를 높이기 위한 연구를 주도할 것”이라고 밝혔다.
구본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