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대 주담대 못 받는다” 고삐 풀린 대출금리…추가 인상 가능성도[머니뭐니]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모습.[연합]

[헤럴드경제=김광우 기자] 가계대출 증가세를 억제하기 위한 대출금리 인상 추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조금이라도 저렴한 금리를 찾으려는 소비자들의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다. 특히 주요 시중은행들에서 3%대 주담대 금리가 자취를 감추며, 아직 3%대를 적용하고 있는 일부 은행들에 수요가 몰리는 현상이 지속된다.

다만 해당 은행들에서 주담대를 받기는 ‘하늘의 별 따기’ 수준으로 치달았다. 주담대 수요가 역대 최대 수준인 데 반해, 저금리를 제공하는 은행의 수는 점차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금융당국이 가계대출 관리에 있어서 은행의 ‘자율성’을 강조하며, 주담대 금리 추가 인상 가능성도 높아졌다. 사실상 3%대 주담대 금리 적용이 불가능해진 셈이다.

시중은행, 사실상 3%대 주담대 안 판다

서울 한 시중은행 영업점의 대출 안내문 앞을 시민이 지나가고 있다.[연합]

8일 금융권에 따르면 6대 시중은행(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IBK기업) 중 5년 주기형 또는 혼합형 주담대 금리가 4%대를 넘어선 곳은 절반이었다. 이날 기준 우리은행의 5년 주기형 주담대 금리가 4.28~5.48%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이 외에도 기업은행(4.18~4.98%)과 신한은행(4.1~5.51%)이 최저 4%대 금리를 적용했다.

나머지 은행들에서도 3%대 후반까지 금리를 올렸다. 국민은행의 5년 주기형 주담대 금리는 3.91~5.31%로 하단이 4%에 육박했다. 하나은행(3.74%~5.04%)과 농협은행(3.73~6.13%) 또한 최저 3%대 후반 금리를 적용했다. 지난 6월 5대 은행의 주담대 금리가 최저 2%대까지 떨어졌던 것을 고려하면, 약 두 달 만에 금리 수준이 1%포인트 이상 상승한 셈이다.

서울 한 거리에 주요 시중은행의 ATM기기가 설치돼 있다.[연합]

이에 현실적으로 3%대 금리는 ‘하늘에 별 따기’ 수준으로 등극했다. 까다로운 우대금리 조건을 모두 충족하기가 힘들기 때문이다. 일례로 국민은행은 현재 우대금리를 최대 1.4%포인트까지 적용한다. 신용카드 이용실적, 자동이체 등으로 0.9%포인트를 감면받을 수 있다. 하지만 최대 우대금리를 적용받으려면 취약차주(0.3%포인트)에 해당해야 한다.

최저 3.7%대 금리를 적용하는 하나은행은 우대금리를 최대 0.4%포인트 적용한다. 거래실적에 따른 대출금리 감면 사항이 없기 때문이다. 다만 3%대 금리를 적용받으려면 만 19세 미만 자녀 3인 이상 조건에 해당해야 한다. 이 경우 0.4%포인트 우대금리가 적용된다. 농협은행의 경우 주담대 금리가 최저 3.7%대로 비교적 낮지만, 우대금리가 2.4%포인트로 크다. 특히 3%대 대출을 위해서는 농업인 우대 0.5%포인트 적용이 필수다.

‘마지막 희망’ 지방은행도 주담대 문턱 높인다

서울 한 부동산중개사무소 앞을 시민이 지나가고 있다.[연합]

아직 통상 우대금리 감면을 통해 3%대 주담대 금리를 적용받을 수 있는 은행들도 남아있다. 예컨대 iM뱅크는 현재 주담대 상품에 최저 3.45~4.35% 금리를 제공하고 있다. 모범납세자, 노인 부양 가구 등 까다로운 일부 기타 감면 조건을 제외하더라도 최저 3.85% 금리가 적용된다. 경남은행 또한 최저 3.57% 금리 수준을 나타냈다. 미성년 자녀 3명 이상(0.2%포인트) 등 일부 조건을 제외해도 3%대 금리가 적용될 수 있다.

하지만 해당 은행들에서 실제 주담대를 실행하는 사례는 그리 많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역대 최대 수준의 주담대 수요가 몇 안 되는 은행에 몰리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최근 9개에 불과한 iM뱅크 서울 지점들에 주담대를 받기 위한 고객이 몰리며, 업무 마비 현상이 벌어졌다. 이에 iM뱅크는 이달 31일까지 사실상 신규 대출 접수를 중단했다.

서울 중구 하나은행 위변조대응센터에서 직원이 5만원권을 정리하고 있다.[연합]

이들 은행을 중심으로 대출금리가 더 오를 가능성도 적지 않다. 지난달 말 부산은행과 경남은행은 주담대 금리를 각각 0.4%포인트, 0.2%포인트 올렸다. iM뱅크 역시 이달 4일부터 비대면 주담대 5년 주기형 금리를 0.5~0.6% 인상한 바 있다. 전반적인 가계대출 억제 정책을 저해할 수 있다는 우려가 형성되면서다.

이에 주담대 예비 차주들의 부담은 더 늘어날 전망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은행의 입장에서는 수요를 조절하려면 비용(금리)적 측면을 조절하는 게 가장 쉬운 선택지”라며 “금융당국에서도 최근 은행의 ‘자율성’을 언급한 만큼, 가계대출 증가량에 따른 대출금리 인상이 추가로 단행될 수 있다”고 말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