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경제=양영경 기자] 정부가 현재 16개인 시내면세점 특허 수를 유지하면서 특허수수료 제도 개선방안을 논의해나가기로 했다.
기획재정부는 12일 서울 중구 한국재정정보원에서 정정훈 세제실장 주재로 ‘제4차 보세판매장 제도운영위원회’를 열고 이런 내용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 |
정정훈 기획재정부 세제실장 [뉴시스] |
면세점 제도와 관련된 중요 사항을 심의하는 위원회는 이날 ▷최근 면세점 시장 동향 및 시내면세점 신규 특허 검토 ▷보세판매장 특허제도 운영 현황 ▷면세점 특허수수료 연구용역 결과 및 향후 제도개선 검토 방향 등 3개 안건에 대해 심의·의결했다.
우선 최근 중국 등 글로벌 리오프닝에 따른 관광회복세에도면세점 업황의 더딘 회복세와 지자체의 신규 특허 수요 부재 등을 고려해 현행 시내면세점 특허수(16개)를 유지하기로 했다. 지역별로 서울 8개, 부산 3개, 제주 2개, 울산·대구·수원 각 1개 등이다.
아울러 면세점 특허수수료 부과기준에 대해서는 연구용역 결과를 참고해 현행 매출액 기준을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특허수수료 제도개선 방안에 대해서는 면세점 업황 전망과 관광업계·전문가 의견 등을 수렴해 차기 위원회에서 논의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