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연휴인 지난 18일 오전 서울 시내 한 대형병원 응급의료센터에서 환자가 이송되고 있다. [연합] |
[헤럴드경제=김용재·안효정 기자] 추석 연휴 기간 동안 ‘응급실 대란’은 없었다. 연휴 기간 동안 응급실을 방문한 환자가 지난해 추석보다 20% 이상 줄었고, 대부분의 응급실이 정상가동 됐다. 다만 ‘응급실 뺑뺑이’는 계속되고 있기에 현장에서는 장기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19일 헤럴드경제 취재를 종합하면 서울 수도권 종합병원에서 추석 연휴기간 동안 큰 혼란은 없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이번 연휴기간의 경우 전공의 이탈 이후 보내는 첫 명절 연휴로 의료 차질에 대한 우려가 높았다. 실제로 전국 180개 지역응급의료센터에서 근무 중인 의사 수는 1865명으로 의료 공백 사태 이전인 지난해 4분기와 비교해 400명 이상 적었다.
그럼에도 전국 응급실은 사실상 정상가동 됐다. 전체 411개 응급실 중 3개소를 제외한 408개 응급실이 추석 연휴 매일 24시간 운영했다. 수도권 종합병원 관계자는 헤럴드경제와의 통화에서 “연휴 기간 동안 정부의 공지로 경증 환자의 방문이 많지 않았다”라며 “대부분의 응급실의 문이 열려 있었기 때문에 큰 문제가 없었다”라고 말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이번 추석 연휴 응급실을 찾은 환자는 하루 평균 2만7505명으로 지난해 추석 3만9911명, 올해 설 3만6996명으로 20%이상 감소했다. 응급실에 온 중증 환자 수도 하루 평균 1255명으로 지난해 추석 1455명, 올해 설 1414명보다 감소했다. 경증 환자 수 또한 올해 추석은 하루 평균 1만6157명으로 지난해 추석 2만6003명, 올해 설 2만3647명에 비해 30% 줄어든 것으로 확인됐다.
의료계에서는 응급실 내원 환자 수 감소의 배경으로 응급실 이용료 상승을 꼽고 있다. 국민건강보험법 시행규칙 일부 개정령에 따르면 지난 13일부터 경증응급환자 및 비응급환자가 권역응급의료센터 등 대형병원의 응급실을 이용할 경우 본인부담률이 최대 90%까지 올랐기 때문이다. 경증 환자가 권역응급의료센터를 이용할 경우 현재 평균 13만원인 본인부담금은 22만원으로 9만원 상승했다.
지방 소재 종합병원 소속 전문의는 “결국 응급실을 찾을 경우 가격 부담이 생겼기 때문에 잠시 병원을 찾지 않은 것이라고 본다”라며 “연휴 끝나고 며칠 상황을 지켜봐야 대란이 없었는지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추석 연휴 기간 동안 전국 곳곳에서 응급실 뺑뺑이 사례는 계속됐다. 지난 14일에는 충북 청주에서 25주 임산부가 양수 유출이 됐으나 6시간 이상 진료를 거부당한 일이 있었다. 구급대는 충북을 시작으로 서울, 인천, 제주 등 75개 병원에 이송을 요청한 후 간신히 청주의 산부인과에서 진료를 받을 수 있었다. 현재 산모와 태아는 안정적인 상태인 것으로 알려졌다.
현장에서는 장기적인 대책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입을 모았다. 응급의학과 소속 한 교수는 “응급실 환자가 연휴기간 잠깐 줄었다고 ‘문제 없다’라고 말하는게 웃긴 상황”이라며 “결국 배후 진료과에서 일하는 이들을 위한 장기적인 대책이 없으면 (응급실은)붕괴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복지부는 병원 응급실 의료진이 환자 난동이나 인력 부족 등의 이유로 진료를 거부할 경우 책임을 묻지 않겠다는 ‘응급의료법상 진료 거부의 정당한 사유 지침 안내’ 공문을 최근 전국 17개 시도와 대한병원협회, 대한의사협회, 대한간호협회 등에 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