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대한상공회의소, 한미협회가 공동 개최한 한미 산업협력 콘퍼런스에서 최중경 한미협회 회장이 개회사를 하고 있다. [대한상의 제공] |
[헤럴드경제=정윤희 기자] 미국 대선을 한 달 반 가량 앞둔 가운데 커밀라 해리스 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중 누가 당선되든 인공지능(AI) 반도체 패권 경쟁이 심화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우리나라가 미국의 핵심 파트너 지위를 점유하고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직접 보조금 등 정부 차원의 보다 적극적인 투자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대한상공회의소는 한미협회와 23일 오전 대한상공회의소에서 ‘한미 산업협력 콘퍼런스’를 공동 개최했다고 밝혔다. 행사에는 최중경 한미협회 회장, 이형희 서울상의 부회장(SK수펙스추구협의회 커뮤니케이션위원회 위원장), 박성택 산업부 제1차관, 제임스 킴 주한미국상공회의소 회장 등과 국내외 첨단산업 전문가 및 연구원, 기업인 등 120여 명이 참석했다.
최중경 회장은 개회사에서 “미국의 두 후보 모두 한국을 외교·안보 분야는 물론 경제·산업의 중요한 파트너로 바라볼 것”이라며 “한·미 양국은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협력을 확대해야 하고 특히, 미국의 기술력과 한국의 제조역량이 결합되면 긍정의 시너지 효과가 창출될 것”이라고 말했다.
23일 대한상공회의소, 한미협회가 공동 개최한 한미 산업협력 콘퍼런스에서 권석준 성균관대 교수가 ‘美대선이 반도체 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한미협력 방안’이라는 주제로 발표를 하고 있다. [대한상의 제공] |
먼저 반도체분야 전문가들은 ‘대선 결과에 관계없이 미국의 중국 견제와 자국 내 투자 확대 기조는 계속될 것’이라는 데 뜻을 같이 했다.
주제발표에 나선 권석준 성균관대 교수는 “누가 당선되더라도 미·중 패권 경쟁은 반도체를 넘어 AI·양자컴퓨터 등으로 확전될 것”이라며 “AI 반도체는 국가대항전에 더해 엔비디아 연합 대 미국 IT·첨단기업 위주로 형성된 반(反)엔비디아 연합(UA링크)간 대결 구도로 발전할 것이기 때문에 국내기업들의 전략적 판단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국의 대응방안에 대해서는 “미국의 대체 불가능한 핵심 파트너 위치를 점유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를 위해 국내 메가 클러스터 생태계 확충, 차세대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R&D)·인력 투자 등 중장기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게리 클라이드 허프바우어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 선임연구원은 패널토론에서 “미국 대선에서 누가 되든 미국 내 반도체 투자에 크게 기여한 칩스(CHIPS)법은 바뀌지 않겠지만, 트럼프가 될 경우 사회복지분야 지출에 관심을 쏟는 해리스보다 보조금 확대 가능성이 더 크다”고 내다봤다. 신창환 고려대 반도체공학과 교수 역시 “누가 되든 미국의 초격차 반도체 개발을 위해 한국, 대만, 일본, 네덜란드 등 동맹국과의 연합을 유지·강화 시켜 나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안기현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전무는 “국내 반도체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려면 주요국처럼 직접 보조금이 필요하다”며 “반도체 특별법 등 관련 법안들이 국회 내에서 신속히 검토되고 통과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23일 대한상공회의소, 한미협회가 공동 개최한 한미 산업협력 콘퍼런스에서 신창환(왼쪽부터) 고려대 교수, 권석준 성균관대 교수, 서정건 경희대 교수, 안기현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전무가 패널토론을 하고 있다. [대한상의 제공] |
배터리분야에서는 인플레이션감축법(IRA) 혜택 축소 가능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 미국서는 IRA 시행 후 2년 동안 공급망 전반에 걸쳐 약 125개 프로젝트가 추진됐고, 투자된 금액만 950억달러(약 128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터리 전쟁’의 저자 루카스 베드나르스키는 주제발표를 통해 “트럼프가 된다면 IRA 혜택이 축소돼 한국 배터리 기업도 타격을 입을 것”이라고 말했다. 양국 협력방안에 대해서는 “양국 기업과 대학 간 공동 R&D 추진은 물론 한국 배터리 연관 스타트업들이 미국 벤처자본과 연계할 수 있는 방안도 필요하다”고 했다.
최종서 한국배터리산업협회 총괄본부장은 패널토론에서 “미국 대선 결과에 따라 공급망 내재화가 시급해 질 수 있다”며 “중국산 저가 제품과의 가격 차이를 좁히고 국내 배터리 소재 사업을 육성할 수 있도록 정부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했다.
황경인 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트럼프가 당선돼) 행정 권한으로 IRA가 후퇴한다면 국내기업들의 미국 내 투자들이 전면 재조정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박재범 포스코경영연구원 수석연구원은 “정부 차원에서 한국 기업들의 광물 자원확보, 소재 가공 및 생산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 중국 공급망 의존에서 벗어나고 미국 공급망 분야의 핵심 파트너가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경윤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지속가능미래기술연구본부장은 “미국은 자국기업의 이익을 우선시 하므로 중국산 배터리를 완전 배제하진 않을 것”이라며 “기업과 정부가 집중적인 기술개발을 통해 기술 우위를 확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