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11일(현지시간) 라오스 비엔티안 국립컨벤션센터(NCC)에서 열린 동아시아 정상회의(EAS)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 |
[헤럴드경제=최은지 기자] 올해 동아시아 정상회의(EAS)의 결과물인 공동 성명 채택이 불발된 것과 관련해 미국측이 중국과 러시아의 책임론을 제기했다. 남중국해를 비롯한 한반도 등 역내 불안정 상황과 관련한 문구에서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는 것이다.
로이터 통신은 12일(현지시간) 익명의 미국 당국자를 인용해 중러가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10개국이 제안한 공동 성명에 반대하면서 한국을 포함해 미국과 일본 등 18개국이 참여한 EAS에서 성명 채택이 이뤄지지 못했다고 보도했다.
이 당국자는 “아세안은 최종 성명을 제시하며 이는 최종본으로서 받아들이거나 말거나 ‘양자택일’의 의안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한국과 미국, 일본, 호주, 인도 등 5개국은 이에 찬성했지만 중러가 비토해 채택이 불발했다는 것이다.
이 당국자는 몇몇 조항에서 이견이 노출됐지만, 핵심은 남중국해 문제와 직결되는 유엔해양법협약(UNCLOS)을 언급하는 방식에 있었다고 밝혔다. 특히 중러가 지난해보다 성명 문구가 더 나아갔다고 주장하며 결국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는 것이다.
또 ‘남중국해와 한반도, 미얀마, 우크라이나, 중동이 역내의 위협으로 부상하고 있다’는 문구를 놓고도 중러의 반대가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반면 아세안 정상회의는 의장성명을 통해 남중국해 긴장을 완화하고 사고와 오해, 오판 위험을 줄이는 신뢰 구축 조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아세안 정상들은 “국제법에 따르는 효과적이고 실질적인 행동 강령의 조기 체결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또한 미얀마를 향해 “폭력을 즉각 중단하고 인도적 지원과 미얀마가 주도하는 포괄적인 국가적 대화를 위한 환경을 조성하라”고 촉구했다.
아세안은 2021년 2월 쿠케타를 일으킨 미얀마 군부를 아세안 고위급 회의에서 배제해 왔으나, 이번 회의에 3년반만에 미얀마 군정 측 대표가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