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15일 낮 12시께 경의선과 동해선 연결도로를 폭파했다.[합참 제공] |
[헤럴드경제=오상현 기자] 북한이 폭파한 경의선과 동해선 연결도로는 군사분계선(MDL)에서 불과 10m 정도 떨어진 곳으로 확인됐다.
또 군은 이에 대응해 군사분계선에서 100m 정도 떨어진 남쪽에 표적지를 설정하고 K4 고속유탄발사기와 K6 중기관총으로 수십 발의 대응사격을 했다.
합동참모본부 관계자는 15일 “북한은 경의선과 동해선 모두 MDL에서 약 10m 떨어진 지점에 가림막을 설치했고 그 너머에서 폭파를 했다”고 밝혔다.
북한이 폭파한 도로의 폭은 20m, 경의선은 약 70m, 동해선은 그 보다 짧은 길이로 관측했다.
군 당국은 도로에 수십 개의 구멍을 파고 그 안에 TNT 수십㎏을 넣어 터트린 것으로 분석했다.
합참 관계자는 “도로 위 아스팔트를 걷어낼 목적으로 볼 때 폭약의 양이 그렇게 많은 것은 아니다”라며 “실제로 폭파한 것을 보니 ‘보여주기 쇼’였던 것 같다”고 평가했다.
이어 “그들이 주장하는 단절 조치를 가시화해서 보여준 것이라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북한은 도로 폭파 이후 경의선과 동해선에 각각 굴삭기와 트럭을 투입해 파편을 수거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폭파 규모는 예상보다 작았지만 군은 자위권 차원에서 대응조치를 했다.
먼저 작업자들이 폭약을 소지하고 들어왔을 때나 군사분계선 인근으로 접근했을 때 정전협정을 위반하고 있다는 사실과 당장 멈추라는 내용으로 경고방송을 했다.
이어 실제 도로를 폭파하자 K4 고속유탄발사기와 K6 중기관총으로 MDL 남쪽으로 약 100m 떨어진 곳에 표적을 설정하고 각각 수십 발 대응사격을 했다.
군 관계자는 “도비탄의 범위나 소리가 들리는 범위까지 계산해서 표적 위치를 정했다”고 설명했다.
대응사격을 한 이유에 대해서는 “정전협정 위반 행위에 대한 자위권 차원의 조치”라며 “이런 행위를 하지 말라는 경고의 메시지를 담았다”고 말했다.
군은 지난 9일부터 이어진 북한군의 작업을 관측·평가해오면서 폭약의 양을 예측해 최대 위험반경을 약 500m로 설정했다.
이날 이른 오전부터 북한군 행동으로 미뤄 폭파가 임박했다고 판단했으며, 판단 시점부터 위험반경 안에는 우리 장병이 없도록 미리 대피했다고 한다.
북한은 도로를 파괴한 자리에 새로운 방벽을 설치하는 등 이른바 ‘요새화’ 작업을 이어 나갈 것으로 전망된다.
군 관계자는 “북한이 주장한 문구를 볼 때 남북 단절 조치의 공고화를 위해 아마도 폭파 지점에 바로 남북 차단을 나타내는 콘크리트 방벽을 세우지 않을까 추정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