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사진은 기사 본문과 관계 없습니다. [쿠팡플레이 캡처] |
[헤럴드경제=고재우 기자] 러닝인구 ‘1000만’ 시대. (스포츠 업계 추산)
러닝크루들이 뉴스를 장식할 정도로 러닝은 어느새 우리에게 친숙한 일상이 됐다. 특별한 장비 없이 쉽게 할 수 있는 힙한 운동으로 인식되면서 2040에는 더욱 인기가 높다.
하지만 운동이 항상 몸에 좋은 것만은 아니다. 러닝 등 무리한 운동으로 인해 고령층의 전유물이었던 무릎 관절염 등이 최근에는 젊은층에서도 적잖게 관찰된다. 의료계 전문가들도 “최근 무리한 운동으로 병원을 찾는 젊은 환자들이 많다”고 경고한다.
26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지난해 러닝으로 인한 대표적 부상인 ‘슬개골 연골연화증’으로 병원을 찾은 이들 중 20~40새 환자 비중이 전체 환자의 약 35%에 달했다.
마라톤, 조깅 등 달릴 때 일어나기 쉬운 무릎 부상을 통칭하는 용어인 러너스니는 반복적 충격과 부하에 따른 근골격계 질환으로, 러너스니의 대표 질환 중 하나가 바로 슬개골 연골연화증이다.
슬개골 연골연화증은 무릎을 심하게 부딪히거나 골절, 탈구 등 겪을 때 나타나지만, 외상이 없더라도 과도하고 무리한 운동 시 발병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활동량이 많은 젊은층이 겪기 쉬운 질환이기도 하다.
대개 무릎 앞쪽 슬개골 주위에 둔한 통증이 나타나고, 계단을 오르내리거나 쪼그려 앉을 때, 한 자세로 오래 앉아 있을 때 증상이 악화된다. 심할 경우 퇴행성 관절염을 유발할 수 있어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무릎 외측 부위에 통증이 나타나는 ‘장경인대 증후군’도 과도한 러닝으로 발생하기 쉽다. 무릎 외측에 위치한 장경인대와 대퇴골 외측부 사이 마찰 탓에 염증 반응이 일어난다. 갑작스런 고강도 운동으로 나타나기 쉽고, 좌우로 경사진 길 혹은 오르막길이나 내리막길을 달리는 것 역시 원인이 된다. 한 두달 간의 휴식 및 진통소염제 복용, 물리치료 등으로 증상이 호전될 수 있지만, 효과가 없을 경우 수술적 치료도 고려해야 한다.
해당 사진은 기사 본문과 관계 없습니다. [쿠팡플레이 캡처] |
의료 전문가들은 무리한 운동을 피하고, 준비운동 등 올바른 운동 습관에 대해 강조한다. 평소에 엉덩이·허벅지 근육 등 달리기에 필요한 근육 부위를 강화하거나 체중을 싣는 쿠션이 있는 러닝화 및 트레이닝화 착용도 권고된다.
강승백 강남베드로병원 무릎관절센터 원장은 “달리기 전에 10분가량 준비 운동을 하고, 달리기가 끝난 후에는 스트레칭을 해 근육의 부담을 줄이는 것이 좋다”며 “아침에 러닝을 하는 경우에는 저녁보다 체온이 느리게 상승하기 때문에 시간을 넉넉히 들여 준비운동을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평상시 간단한 근력 운동은 무릎과 발목을 보호하는데 도움이 된다”며 “일주일에 70㎞ 이상 무리한 거리를 뛰지 않도록 하고, 건강 체중을 유지하는 것 역시 관절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운동화는 약 750~880㎞마다 새것으로 교체해주면 올바른 러닝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며 “단 러닝을 막 시작한 초보자 및 일반인들은 전문 선수들이 신는 카본화는 피해야 한다. 지나친 탄성으로 인해 아킬레스건염 등 입을 위험이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