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봉수 LG유플러스 품질혁신센터장이 29일 서울 강서구 LG사이언스파크 마곡 사옥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LG유플러스 제공] |
[헤럴드경제=고재우 기자] LG유플러스가 인공지능 전환(AX)을 통한 자동화·지능화 등으로, 자연재해는 물론 대규모 이벤트에 따른 고객 불편 해소에 나선다.
빅데이터 기반 감시시스템, 로봇 프로세스 자동화(RPA)를 통해 데이터 수집 및 자료 작성 등을 자동화하고, 이를 통한 빠른 의사 결정으로 장애 발생 가능성 차단 및 트래픽 부하에 적극 대응하겠다는 것이다.
LG유플러스는 29일 서울 강서구 LG사이언스파크 마곡 사옥에 위치한 ‘통합관제센터’를 공개했다.
지난 3월 가동된 통합관제센터는 빅데이터 기반 지능형 자동화 시스템을 통해 전국의 네트워크와 외부 서비스의 품질을 24시간 모니터링한다. 신속한 대응으로 고객에게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도 맡고 있다.
LG유플러스 임직원들이 통합관제센터에서 이상 상황에 대응하고 있다. [LG유플러스 제공] |
▶빅데이터 감시시스템, 장애 발생 예측 및 피해 최소화=LG사이언스파크 부속 유플러스 마곡사옥 1~2층에 1410㎡(약 427평) 규모로 위치한 통합관제센터는 네트워크·최고기술책임(CTO)·사이버보안센터 등 전문 대응력을 갖춘 임직원들이 24시간 365일 근무하고 있는 ‘품질 컨트롤타워’다.
649인치 규모의 초대형 스크린이 들어서 있는 상황실에서는 전국에서 벌어지는 등급별 장애, 이상 상황 관련 시각화된 정보를 제공한다. 또 LG유플러스의 유·무선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자체 개발한 빅데이터 기반 감시시스템을 활용해 메신저,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등 약 90종의 외부 서비스 품질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통합관제센터는 인공지능(AI) 및 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활용해 네트워크 성능을 예측하고 최적화하는 ‘지능형 자동화 시스템’을 운영 중이다. 이를 통해 잠재적 장애 발생 가능성을 사전에 예측하고, 서비스 중단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대규모 장애 등 발생 시, 신속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지휘통제소도 마련됐다. 전국 운영 조직을 연결하는 화상회의시스템도 마련됐다.
29일 서울 강서구 LG사이언스파크 마곡 사옥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윤오한(왼쪽부터) 네트워크품질담당, 강봉수 품질혁신센터장, 정홍화 통합관제기획팀장 등이 발언하고 있다. [LG유플러스 제공] |
▶재난재해·이벤트 정보 실시간 수집, 트래픽 부하 대응=LG유플러스는 네트워크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RPA를 활용하고 있다. RPA는 소프트웨어 로봇을 이용해 데이터 추출, 자료 작성 등 정형화된 단순 반복 작업을 자동화하는 솔루션이다.
네트워크 관제 분야에서는 RPA를 통해 태풍·지진 등 자연재해, 불꽃 축제·해돋이 등 이벤트 정보를 자동으로 수집한다. 예를 들어 태풍의 영향으로 이동통신 기지국이 작동 불능 상태에 빠지면 전국·권역별 장비 피해 현황을 RPA로 실시간 집계하고, 복구 우선 순위를 정리해 빠른 의사 결정을 돕는다.
대규모 이벤트에서는 사전에 배치한 이동기지국과 주변 고정기지국 트래픽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다. 이를 통해 트래픽 분산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RPA가 네트워크 운영 담당자에 상황을 자동으로 전파한다.
불꽃 축제, 연말연시 트래픽 감시, 핼러윈데이 로봇 등 이벤트 유형에 따라 트래픽 부하를 관리하는 실시간 대응 체계를 갖춘 것이다.
강봉수 LG유플러스 품질혁신센터장은 “통합관제센터는 고객에게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RPA와 같은 기술 도입을 통해 품질 관리 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