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비즈] ‘강한 선진국’, 대한민국

대한민국이 강한 선진국이 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이 있다. 바로 ‘농어촌·농어민이 잘 사는 나라’가 되는 것이다. 스위스, 노르웨이, 핀란드 등 선진 복지국가는 모두 ‘농업 선진국’이다. 농업이 국가 기반을 탄탄하게 자리 잡고 있으며 대표 특산품을 전 세계로 수출해 국부를 쌓고, 식품영토를 확장했다. 이들 국가에서 농어민들은 안정적인 수익을 보장받으면서 자부심을 가지고 일한다. 농부들의 전문성이 인정받고 농업의 공익성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도 높다.

농업은 인류의 생존과 직결되는 생명산업이자, 식량주권을 책임지는 국가 기간산업이다. 국민의 먹을거리를 생산하는 사람들이 대접받고 이들의 생활이 안정된 나라야말로 진정한 선진국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농어촌과 농어민이 잘 사는 나라가 되기 위해 무엇이 필요할까. 저탄소·친환경 농업 확대, 기후변화 대응, 식량자급률 제고, 저온유통체계 구축, 스마트팜을 통한 4계절 농업 실현, 농수산물 온라인도매시장 활성화, 농수산식품 수출로 식품영토 확장. 이 일곱 가지 길이 대한민국을 농업 선진국으로 이끌 수 있다.

농어촌·농어민(축산인)이 잘 사는 강한 대한민국이 되기 위해 가장 시급한 과제는 기후변화 대응이다. 기후변화는 농어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올해 9월까지 이어진 무더위로 농작물과 가축 피해가 잇따랐으며, 봄철 저온피해와 일조량 부족, 병해충 증가 등으로 전국의 농작물 지도가 바뀌고 있다. 농사는 농민들이 짓지만, 농민들이 농사를 지을 만한 환경은 국가 차원에서 만들어야 한다. 공사가 지난달 ‘기후변화 대응 수급 태스크포스(TF)’를 신설한 이유도 이와 같은 맥락이다. 기후위기에 대응해 안정적으로 농산물을 생산하고 수급을 관리하는 종합계획을 수립해 정부에 제안하기 위해서다. 농어민이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기반 사업을 확충하고 재해보험을 확대하는 등 기후위기 시대 맞춤형 대책이 필요하다.

우리 땅에서 나는 우리 농산물이 바로 ‘국력’인 시대다. 기후위기와 인구증가로 곧 닥쳐올 식량 위기 앞에서, 외부의 변화에 흔들리지 않고 우리의 밥상은 스스로 지킬 수 있어야 한다. 우리나라의 식량자급률은 49.3%(2022년) 수준이다. 이마저도 우리 농업의 주생산물인 쌀 덕분인데 콩은 28%, 옥수수와 밀 자급률은 한 자릿수대에 불과하다. ‘2024 세계 식량 위기 보고서(GRFC)’는 전 세계 59개국에서 심각한 식량위기가 발생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제분쟁과 기후위기 등으로 언제 식량위기가 닥칠지 모를 일이다. 식량이 무기가 되는 시대에, 우리나라도 식량안보 강화를 위해 쌀에 편중된 식량작물 체계를 5곡(쌀·밀·콩·옥수수·보리)으로 재편하고, 식량자급률을 높여야 할 때다.

대한민국의 미래는 농수산식품에 있다. 농어업(축산업)이 튼튼해야 농수산식품의 경쟁력도 강화될 수 있다. 농수산식품의 부가가치를 높여 해외로 수출하면서 대한민국의 식품 영토를 확장할 수 있다. 농업이 탄탄한 선진국으로 가는 길은 결코 쉽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 지금부터라도 그 길을 간다면 불가능한 일도 아니다. 우리 모두 농업의 가치를 다시 인식하고, 대한민국을 강한 선진국으로 만드는 길에 함께하자.

홍문표 한국농수산식품 유통공사 사장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