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금 없는 사회…고령층만 더 소외된다”

서울 강남구 한국은행 강남본부 [사진공동취재단]

[헤럴드경제=홍태화 기자] 현금을 받지 않는 상점·서비스가 확산하면서 고령층 불편이 크게 늘어났 수 있다는 지적이 한국은행에서 나왔다.

이경태 한국은행 경제연구원 금융통화연구실 과장과 박재빈 숭실대 경제학과 교수는 31일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중 디지털 이해도와 현금 수요 간의 관계'(BOK 경제연구)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디지털 이해도가 낮은 소비자는 코로나19처럼 비대면 결제방식이 외생적으로 강제되는 상황에서도 현금을 계속 이용하려는 성향이 강했다.

팬데믹 기간 중 디지털 이해도가 낮은 소비자가 휴대 현금을 줄일 확률은 평균 16%였다. 디지털 이해도가 높은 소비자(26%)보다 낮은 수준이다.

디지털 이해도가 낮은 소비자가 모바일 금융서비스 이용을 늘릴 확률 역시 32%로, 디지털 이해도가 높은 소비자(46%)에 비해 14%포인트 낮았다.

연구자들의 시뮬레이션 결과 현금을 받지 않는 상점과 서비스가 늘어나면 디지털 이해도가 낮을수록 소비자 후생 감소가 더 클 것으로 예측됐다.

특히 여타 연령층보다 현금 의존도가 높고 디지털 이해도가 낮은 고령층의 소비자 후생 감소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 과장은 "50대 미만은 보통 신용카드를 보유하고 있는데 고령층이 될수록 보유하고 있는 지급결제 수단 숫자가 줄어들고, 70대 이상은 신용카드를 보유하고 있지 않은 경우가 많다"며 "기본적으로 결제 수단이 현금이나 체크카드인데, 현금에만 의존하는 분들도 많기 때문에 후생 감소 폭이 큰 것"이라고 지적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