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경제=양영경 기자]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년 9개월 만에 가장 낮은 상승률을 기록한 가운데서도 외식물가는 오히려 상승폭을 확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체감물가의 가늠자인 외식물가가 여전히 높은 수준을 기록하면서 1%대 물가 상승률이 피부에 와 닿지 않는다는 지적도 계속되는 상황이다.
서울 중구 명동거리에 설치된 식당의 음식 메뉴판. [연합] |
6일 통계청에 따르면 10월 외식물가 상승률은 2.9%로 전달(2.6%)보다 상승폭을 확대했다.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9월 1.6%에서 지난달 1.3%로 둔화하는 동안 외식물가는 거꾸로 가는 흐름을 보인 것이다.
지난달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과의 격차는 1.6%포인트(p)로, 지난해 8월(1.8%p) 이후 1년 2개월 만에 가장 벌어지기도 했다.
해당 격차는 올해 4~5월 0.1p까지 좁혀지기도 했지만, 전반적으로 외식물가 상승률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웃도는 현상은 2021년 6월부터 3년 5개월째 계속되는 모습이다. 외식물가 부담이 다른 품목에 비해 그만큼 더 컸다는 얘기다.
품목별로 보면 지난달 39개 품목 중 33개의 물가 상승률이 평균을 웃돌았다. 특히 직장인 사이에서 외식비 부담을 줄이기 위한 대안으로 떠올랐던 도시락이 8.1% 올라 가장 많이 상승한 품목으로 꼽혔다.
이어 떡볶이(6.2%), 칼국수(5.6%), 햄버거(5.5%), 치킨(5.2%), 김밥(5.0%), 김치찌개 백반·설렁탕(4.3%), 해장국(4.1%), 생선회·구내식당식사(4.0%) 등의 순으로 상승률이 높았다.
하락 품목에는 기타음료(-0.5%), 소주(-1.0%), 커피(-1.3%), 피자(-1.8%) 등이 이름을 올렸으나 그동안 누적된 상승 탓에 하락세를 체감하긴 쉽지 않다는 평가도 나온다.
정부는 지난달 외식물가 대해 “배달료 상승과 일부 할인행사 종료 등으로 인해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최근 배달 중개 수수료 인상 등의 여파로 경영 부담이 커진 자영업자들은 아예 음식값을 올리거나, 매장 주문보다 가격을 비싸게 책정하는 이중가격제 등으로 대응 중이다. 그간 정부의 요청으로 가격 인상을 억눌러온 외식업체들도 줄줄이 가격 인상에 나서고 있다. 지속적으로 상승한 원·부자재 가격과 인건비 등을 감당할 수 없다는 게 그 이유다.
대통령실은 높은 외식물가를 체감 경기 부진의 주요 원인으로 거론하기로 했다.
대통령실 고위관계자는 전날 “고금리와 특정 품목의 물가 상승, 높은 외식 물가가 체감 경기 부진의 주요 이유”라면서 “외식 물가가 오르면 국민들이 외식하는 것에 부담을 느끼게 되고, 그러면 (요식업) 가게 운영도 잘 안 되는 문제가 생기는데 이것이 (국민들이) 내수가 부진하다고 느끼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