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홀로 1배 미달·연초比 역주행
올해 들어 ‘밸류업 프로그램’이 본격 시행되는 등 ‘코리아 디스카운트(한국 증시 저평가)’ 해소를 위한 정부 주도의 주가 부양책에 속도가 붙었다. 하지만, 저평가 현상은 연초보다 더 심화했다. 코스피 지수의 주가순자산비율(PBR)이 글로벌 주요국 증시 중 최하위권에 머문 것에 더해 나홀로 뒷걸음질 치며 소외 현상이 강화된 모습을 보였다.
1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 지수의 PBR은 15일 기준 0.85배로 연중 최저치를 기록했다. 13일 이후 3거래일 연속 이어진 해당 수치는 올해 들어 가장 낮은 수준으로, 지난해 11월 1일(0.84배) 이후 1년 만에 기록한 최저치다.
올해 들어 코스피 지수 PBR은 연초부터 정부가 앞장서 밸류업 드라이브를 걸면서 우상향 곡선을 그린 바 있다. 3월 21일엔 올해 처음으로 코스피 지수 PBR이 1배 수준을 웃돌았고, 7월 9~16일에는 1.03배까지 상승하며 연중 최고치를 기록하기도 했다.
다만, 코스피 지수 PER은 8월 초 ‘검은 월요일(블랙 먼데이)’로 불리는 주가 급락장을 거치면서 추세적으로 우하향 곡선을 그리기 시작했다. 8월 1일 1배를 마지막으로 0점대 소수점으로 내려선 코스피 지수 PBR은 11일 0.89배까지 내려앉은 이후 0.9배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문제는 이 같은 저평가 현상이 글로벌 주요국 중 유독 한국 증시에서만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PBR이 0.85배에 그쳤던 15일 기준 미국 뉴욕증시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의 PBR은 5.15배에 달했다. 선진시장(DM)으로 분류되는 영국 런던증시의 FTSE 100 지수와 일본 도쿄증시의 닛케이평균주가(닛케이225) 지수의 PBR은 각각 1.65배, 1.43배 수준이었다.
한국과 함께 신흥시장(EM)으로 분류되는 인도국립증권거래소(NSE)의 니프티(Nifty)50 지수의 PBR은 3.74배에 달했고, 대만 자취안(加權) 지수(2.53배), 중국 상하이종합지수(1.12배) 모두 PBR 1배 수준을 넘어섰다.
미국 S&P500(4.29→5.15배), 일본 닛케이225(1.31→1.43배), 대만 자취안(2.12→2.53배) 등 글로벌 주요국 증시가 올해 들어 랠리를 이어가며 PBR 역시 커졌던 것과 반대로, 나홀로 부진을 면치 못하며 코스피 PBR이 역주행(0.97→0.85배)한 것도 주목할 지점이다.
증권가에선 과거 경험적으로 봤을 때 추가 하락할 가능성도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다만, 코스피가 과매도 구간에 돌입했다는 판단에 따라 추가 하방 압력은 제한적일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도 이어진다.
조준기 SK증권 연구원은 “금융위기나 코로나19 팬데믹 등 상황이 아니라면 코스피는 12개월 후행 PBR 0.83배 정도에서 추가 하락이 제한됐던 경험이 대다수”라며 “코스피 2360까지가 경험적으로 얘기할 수 있는 밸류에이션 바닥 기준”이라고 짚었다.
신동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