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img.heraldcorp.com/news/cms/2024/11/19/news-p.v1.20241119.b93bc1b58b1b4b52a3e94626d940816e_P1.jpg) |
바나나 리퍼블릭의 케이프 코프 상품. [바나나 리퍼블릭 홈페이지] |
[헤럴드경제=김희량 기자] 사랑스러움과 우아함 사이 그 어딘가, 망토가 있다.
19일 이틀 연속 영하권 기온이 계속되는 가운데 목과 얼굴을 넘어 몸 전체를 보호하는 ‘휘감는 패션’이 보이기 시작했다. 지난해 폭이 좁고 긴 스카프를 목에 두르는 패션이 유행이었다면 올겨울에는 면적이 넓은 형태의 아이템이 눈길을 끈다. 두르기보다 입는다는 표현이 어울릴 정도다. 캐시미어 케이프 코트, 패딩 충전재를 넣은 퀄티드 판초 스타일까지 다양한 변주도 이어진다.
![](https://wimg.heraldcorp.com/news/cms/2024/11/19/news-p.v1.20241119.c29d652e65644c6e9e68a80069518065_P1.jpg) |
보테가 베네타(왼쪽)의 케이프 코트와 티케비(오른쪽)의 캐시미어 핸드메이트 케이프. [보테가 베네타/W컨셉 제공] |
대표주자는 케이프(Cape)다. 포루투칼어 ‘카파(Capa)’에서 유래된, 몸과 어깨를 덮는 망토(불어 ‘manteau’에서 유래) 스타일의 겉옷이다. 체형을 가려주면서 보온과 섬세한 스타일링을 동시에 잡을 수 있다. 최근에는 스카프 디테일이 적용된 케이프 코트뿐만 아니라 케이프 드레스 등 다른 의복과 합쳐진 형태도 쉽게 보인다. 중앙에 머리를 꺼낼 수 있도록 구멍을 낸 망토형 옷인 판초(poncho)와 달리, 입체감으로 화려한 실루엣을 구현했다.
명품 브랜드 중에는 클로이를 필두로 보테가 베네타, 토템, 질 샌더, 피비 파일로가 케이프 패션을 선도하고 있다. 온라인 명품 플랫폼 젠테의 김홍재 MD팀 리드는 “드뮤어룩, 올드머니룩 등 지난해부터 이어진 차분하고 우아한 패션의 연장선에서 FW(가을겨울) 시즌의 케이프가 트렌드로 떠올랐다”면서 “대표 소재인 울뿐만 아니라 캐시미어, 가죽, 레이스까지 외투를 넘어 다양한 디테일을 활용한 스타일 포인트가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https://wimg.heraldcorp.com/news/cms/2024/11/19/news-p.v1.20241119.43bb63f65d604a4ca9ed235f0b2d46b7_P1.jpg) |
펜디의 2024 FW(가을겨울) 시즌 케이프 상품들. [FENDI 제공] |
김선영 순천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교수는 ‘현대패션에 나타난 케이프디자인의 특성(2012)’이라는 연구에서 “우아미, 실용과 패션성의 조화와 함께 권위를 표현하는 장식으로 역할을 한다”고 분석했다. 케이프에서 고급스러움이 드러나는 배경 중 하나는 케이프가 과거 왕실이나 귀족들이 입던 의복의 형태와 연결되기 때문이다. 김 교수는 해당 연구에서 “케이프의 실루엣이 긴 길이로 표현될 경우 우아함과 위엄 있는 이미지를 나타내게 된다”면서 “과장과 확대의 방식으로 권위성의 가치를 표현한다”고 서술했다. 넓은 면적으로 힘 있는 이미지를 만들어낸다는 의미다.
![](https://wimg.heraldcorp.com/news/cms/2024/11/19/news-p.v1.20241119.0f3524dc880e4fd1ac2d44f437653e49_P1.jpg) |
모자 아닙니다. 케이프에서 비롯된 RIck Owens(왼쪽)의 하이넥 패딩 판초 케이프와 펜디(오른쪽)의 FF 로고 패치 케이프. [젠테 제공] |
![](https://wimg.heraldcorp.com/news/cms/2024/11/19/news-p.v1.20241119.abafeba5789c40778a5ccd824c534a65_P1.jpg) |
LF의 아떼 가르송이 오는 20일 출시 하는 후드 머플러. [아떼 인스타그램] |
지그재그에 따르면 1~15일 기준 케이프 가디건과 숄 코트의 거래액은 전년 대비 129%, 234% 증가하며 ‘휘감기 패션’을 찾는 높은 수요가 나타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넉넉하고 아늑한 실루엣이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자아내며 동시에 올해 화제가 됐던 보헤미안시크 트렌드를 녹일 수 있는 넓은 의류가 주목받고 있다”고 전했다.
더불어 목도리, 모자가 아닌 아우터 위 ‘보호막’ 역할을 하는 아이템도 인기다. W컨셉에 따르면 이달 1~15일 케이프와 바라클라바의 매출은 각각 2배 이상인 110%, 112%로 증가했다. 숄, 바라클라바, 스누드가 관심을 받는 것도 케이프 유행과 같은 맥락으로 풀이된다. 활동성을 보장하면서 무심하게 휘감긴 형태로 자유롭고 세련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어서다. 케이프 코트가 부담스럽다면 드레스나 슈트 위에 착용할 수 있는 케이플릿을 활용하는 것도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