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도광산 추도식서 ‘강제성’ 언급 없는 日… 서경덕 “뒤통수 맞은 꼴, 유네스코에 고발할 것”

사도광산 추도식 추도사에 ‘강제성’ 언급 없어
서 교수 “인근 박물관에 조선인 비하내용 전시”
“전체 역사 올바르게 알리지 않는 행태 고발할 것”


조선인 강제노역이 있었던 사도광산 ‘도유갱’ 내부. [서경덕 교수 제공]


[헤럴드경제=한지숙 기자]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노역 현장인 니가타현 사도광산 인근에서 지난 24일 열린 ‘사도광산 추도식’이 한국 측이 불참한 채 반쪽짜리로 열린 가운데 일본 측 추도사에 사과나 강제성 인정이 없었던 데 대해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또 뒤통수를 맞은 꼴”이라며 유네스코 측에 고발하겠다고 밝혔다.

서경덕 교수는 25일 “사도광산 추도식 추도사에서 ‘가혹한 환경에서 곤란한 노동에 종사’한 건 인정했지만 ‘강제성’ 언급은 또 없었다”고 지적했다.

사도광산 인근 아이카와 향토박물관의 조선인 관련 전시 모습. [서경덕 교수 제공]


전날 추도식에 일본 정부 대표로 참석한 이쿠이나 아키코 외무성 정무관은 ‘인사말’이라고 명명한 추도사에서 사도광산의 세계유산 가치를 언급한 뒤 “빛나는 (등재) 성과는 위험이 수반된 가혹한 환경에서 노동에 종사한 광산 노동자들을 비롯한 선인들의 헌신의 산물임을 인식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러한 분들을 포함한 당시 광산 노동자들이 큰 노력을 했다”며 “광산 노동자 중에는 1940년대 우리나라(일본)가 전쟁 중에 노동자에 관한 정책에 기초해 한반도에서 온 많은 분이 포함돼 있었다”고 했다.

이쿠아나 정무관은 한반도 노동자에 대해 “전쟁이라는 특수한 사회 상황 하에서라고 해도 고향에서 멀리 떨어진 땅에서 사랑하는 가족을 생각하면서 갱내의 위험하고 가혹한 환경에서 곤란한 노동에 종사했다”며 “종전(終戰)까지 고향에 돌아가지 못하고 유감스럽지만, 이 땅에서 돌아가신 분들도 있다”고 했다.

이어 “(사도광산이) 세계유산에 등재된 지금이야말로 선인들이 만들어온 역사를 잘 생각하고 이를 미래에 계승해 간다는 맹세를 새롭게 해야 한다”며 사도광산 노동자에게 경의를 표하고 희생자를 애도한다고 밝혔다.

서 교수는 최근 사도광산을 직접 답사했다면서 “사도광산 인근 아이카와 향토박물관에서도 조선인의 가혹한 노동은 기술되어 있지만 ‘강제성’ 표현은 전혀 없었다”고 했다. 이어 “‘반도인(조선인)은 원래 둔하고 기능적 재능이 극히 낮다’, ‘반도인 특유의 불결한 악습은 바뀌지 않아’ 등 오히려 조선인을 비하하는 내용을 전시하고 있었다”고 전했다.

서 교수는 “군함도 등재 당시 일본은 희생자를 기리는 정보센터 설치를 약속했지만, 센터를 현장이 아닌 1000km 떨어진 도쿄에 설치하고 ‘강제성’을 부인하는 자료를 전시하는 것에 이어 또 뒤통수를 맞은 꼴”이라고 분노했다.

서 교수는 이번 답사 자료를 엮어 사도광산의 전체 역사를 올바르게 알리지 않고 있는 일본의 행태를 유네스코 측에 고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