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동, ‘레벨4 자율작업 트랙터’ 개발한다

산업부 과제 수주…2029년까지 완료
존디어 등 글로벌 업체와 기술격차 축소


자율주행 3단계 트랙터가 무인 자율작업을 하고 있다. [대동 제공]


대동(대표 원유현)이 ‘레벨4 자율작업 트랙터’를 개발한다.

이 회사는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KETI)에서 이런 과제를 수주했다고 28일 밝혔다. 내용은 ‘농작업 환경인지 및 오류 대응이 가능한 레벨4 자율작업 트랙터 기술 개발’로, 연구개발 기간은 2029년 3월까지다.

대동은 대동에이아이랩을 포함해 서울대, 국립농업과학원, 경북대, 미국 플로리다대와 산학연 컨소시엄을 구성해 5개 과제를 수행한다. 과제는 ▷환경인식 기반 액츄에이터 고정밀 제어기술 ▷비전센서 기반 환경인식 시스템(스마트루프) ▷비정형 작업영역 최적경로 생성 및 군집제어 ▷토양특성 계측 및 농작업 성능 예측 모델 ▷북미 농작업 환경 DB 구축 등이다.

대동은 업계 최초로 자율주행 3단계 농기계를 상용화했다. 자율 농작업이 가능한 농기계와 농업로봇의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과제 수행을 통해 고부하 농작업 환경에서도 데이터를 수집하고 학습해 고정밀 무인 자율 농작업이 가능한 온디바이스 AI(인공지능) 트랙터를 개발하게 된다. 이 트랙터는 경작지의 특성, 작업기의 종류, 장애물의 위치 등 국내 농작업환경 전반을 고려해 무인 농작업을 수행하는 게 목표다.

대동은 이번 과제로 존디어, 뉴홀랜드 등 글로벌 농기계업체와 자율작업 기술격차를 1, 2년으로 줄일 방침이다. 또 고마력 자율작업 트랙터 판로도 개척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회사 관계자는 “국내 최초로 양산 수준의 AI 자율작업 트랙터를 개발하는 게 목표”라며 “국내 농기계산업의 기술이 글로벌 기업 수준으로 발돋움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유재훈 기자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