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랑이·용 소재…한국적인 게 가장 세계적
![]() |
미국 최고의 일러스트레이터에게 주어지는 칼데콧 명예상을 수상한 차호윤(해너 차) 작가가 28일 오후 제1회 부산국제아동도서전에서 독자들과 만나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대한출판문화협회 제공] |
[헤럴드경제=이민경 기자] 지난해 미국에서 출간된 ‘용을 찾아서’(더 트루스 어바웃 드래건스·The Truth about Dragons)’로 올해 미국의 권위있는 그림책상인 칼데콧 명예상을 한국인 최초로 수상한 차호윤(미국명 해나 차) 작가가 28일 부산을 찾았다.
차 작가는 국내 첫 국제아동도서전인 제 1회 부산국제아동도서전에서 개막식부터 본인의 강연과 인터뷰는 물론, 동료 작가들의 강연까지 빠짐없이 참석했다. 미국에서 태어나 초중고교는 물론 로드아일랜드 디자인 학교에서 일러스트 미술을 전공한 그는 분명 ‘미국인’ 이지만 한국어 소통에 전혀 문제가 없었다.
![]() |
저서에 사인하고 있는 차호윤 작가[출협 제공] |
그는 “부모님이 제가 태어나기도 전에 이민을 오시면서 엄청나게 많은 한국 전래동화 전집을 미국에 가지고 오셨다”며 “그리고 제가 어릴 때 아무리 피곤하고 졸려도 잠들기 전에 침대에서 꼭 한 권을 읽어 주셨다”고 유창한 한국어를 가능하게 한 배경을 설명했다.
그의 생애 동안 한국에 있었던 시간은 토막토막 몇년 밖에 안되지만 그는 ‘가장 한국적인’ 작품을 그려내고 있다.
![]() |
두 산 사이의 작은 발(Tiny feet between the mountains) 표지 |
2019년 그의 작가 데뷔작인 ‘두 산 사이의 작은 발(Tiny feet between the mountains)’은 한국 호랑이가 주인공이다. 차 작가는 “호랑이의 다양한 모습을 정말 좋아한다. 김홍도 화백의 ‘송하맹호도’에서는 위협적이고, 민화 ‘까치호랑이’에서는 우스꽝스럽다”면서 “이 두 마리 호랑이에 더해 제가 당시 막 입양한 고양이까지 총 세 마리의 호랑이를 보면서 그림을 그렸다”고 웃었다.
그는 또 “호랑이에 애착을 갖게 된 이유는 고등학교 때 수업에서 일제강점기 때 일제가 우리나라 호랑이를 멸종시켰다는 사실을 배웠다”며 “아직 백두산에는 호랑이가 살아있다는 이야기를 들어서 관심이 많다. 그리고 외국인 독자들이 제 북토크에 와서 ‘호.랑.이’를 또박또박 발음하는 모습을 보면 내심 뿌듯하다”고 덧붙였다.
![]() |
‘더 하우스 비포 폴링 인투 더 씨(The house before falling into the sea)’ 표지 |
‘더 하우스 비포 폴링 인투 더 씨(The house before falling into the sea)’는 한국계 미국인 작가 성안숙의 이야기에 맞게 그가 그림을 그린 작품이다. 6·25 전쟁 당시 부산에서 피난민을 받아준 집의 아이 ‘경희’의 입장에서 바라본 이야기다.
차 작가는 “성안숙 작가님 어머님이 실제 겪은 이야기를 바탕으로 풀어낸 이야기”라며 “우연이면서 인연인 것이 제 친할머니 역시 당시 부산으로 내려간 피난민이었다. 글작가와 그림작가가 서로 반대 입장에서 서 있는 사람으로 만났다”고 설명했다.
미국 출판사와 작업한 이 책에서 그는 ‘엔드 페이퍼’(제일 처음 장과 마지막 장)를 1950년도의 가난한 부산과 2010년대 찬란한 부산으로 꾸몄다. 그는“전쟁의 아픔만 보기보다, 과거와 미래를 보여주면서 시간은 흐르고 희망이 있다는 것을 꼭 보여주고 싶었다”고 제작 의도를 언급했다.
그에게 칼데콧상 수상의 영예를 안긴 ‘용을 찾아서’에서는 한국인을 넘어 동양인으로서의 그의 정체성 탐구가 이어졌다.
![]() |
‘용을 찾아서’ 그림책의 한 장면 |
이 책에는 인간을 단죄하는 무서운 서양용과 인간에게 복을 물어다 주는 신비한 동양용이 나온다. 사과잼을 만드는 서양 할머니와 국화차를 내려주는 동양 할머니가 각기 아이에게 두 지역의 용을 설명해준다. 아이는 이 두마리 용 중 하나를 굳이 선택할 필요 없이 모두 자기 안에 있음을 배운다.
차 작가는 이 작품의 스토리를 쓴 줄리 렁 작가의 원고를 처음 읽고 나서 울었다고 고백했다.
“정말 많이 울었어요. 저의 어린이 때 모습을 많이 생각하게 됐거든요. 저는 미국에서 태어나 미국에서 자라고 있지만, 부모님은 한국인이고, 저 역시 생긴 것은 한국인이거든요. 제가 정체성의 혼란을 느끼며 자라면서 내성적이 된 면이 있는데, 만약 제가 아이였을 때 이 작품을 볼 수 있었다면 얼마나 위안이 됐을까 싶었어요. 앞으로 이 책을 읽는 아이들은 저와 같은 갈등을 많이 겪지 않아도 된다는 생각에 눈물이 났어요.”
그는 지금도 어느 한 쪽의 정체성을 선택하기보다 “불완전한 균형 속에서 살며 그저 해탈했다”고 말한다. 그는 “저는 영원히 이 숙제를 해야 한다. 다만 어릴 때부터 저에 대한 탐구를 많이 한 것이 결국 저를 미술로 이끌었다”고 말했다.
가장 한국적인 작품이 가장 국제적일 수 있다는 말도 전했다.
“사계절 출판사의 ‘바나나가 더 일찍 오려면’(정진호) 그림책은 바나나가 집앞에 배달오기까지의 이야기를 다뤄요. 배달의 민족인 한국에서 한국인이 생각할 수 있는 거예요. 미국에 사는 미국인인 저는 생각할 수도 없는 독창적인거죠.”
조만간 그는 ‘차는 사랑이다(Tea is Love)’라는 새 작품으로 독자들을 찾을 예정이다. 그 다음엔 그가 직접 원고부터 그림까지 직접 참여한 책도 나올 전망이다. 정원을 가꾸는 요정의 갈등과 시련에 대한 이야기다.
“정원은 비유적으로 자기 세계, 자기 작업을 뜻해요. 한 요정이 정원을 열심히 가꾸다가 어느 순간 다른 정원이 눈에 들어와요. 그 정원이 너무 아름답고, 반면 내 정원은 초라해 보여요. 그때부터 그 요정이 가는 여정에 대한 이야기에요. 남의 떡이 더 크다(Grass is greener on the other side)는 격언과도 일맥상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