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틈새시장 선점 우려, 대응 방안 모색해야”
日서 BYD 부진…장기적 시장 영향 가능성 주목해야
BYD 선산 공장 내부에서 조립을 완료한 차량들이 검수를 앞두고 있다. [BYD코리아 제공] |
[헤럴드경제=서재근 기자] 중국 전기차 업체들이 국내 시장 진출을 본격화한 가운데 국내 전기차 업계가 내수 전략을 재점검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는 3일 ‘BYD 일본시장 현황과 국내 업계 시사점’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최대 전기차 생산업체 BYD(비야디)가 국내 전기 승용차 시장 진출을 공식화하면서 장기적으로 미칠 시장 영향이 주목된다.
보고서는 “BYD를 비롯한 중국 전기차 업계는 가격경쟁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시장 전략을 구사할 수 있으며, 비교적 높은 브랜드 인지율로 틈새시장을 공략할 가능성을 간과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다만, BYD가 앞서 진출한 일본 시장 사례를 통해 한국 시장에서도 초기 성과가 제한적일 것이라는 관측도 내놨다. 자국산 제품의 높은 점유율, 전기차 수요 둔화, 중국산 제품에 대한 부정적인 소비자 인식 등 일본과 한국시장은 환경이 유사하다는 설명이다.
실제 BYD는 일본 시장에 ATTO 3와 DOLPHIN, SEAL을 순차적으로 투입하며 판매 확대를 노렸지만, 올해 4월 보조금 축소 이후 어려움을 겪었다. 올해 1~9월 BYD의 일본 승용차 판매량은 1742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96.6% 늘었지만, 판매 목표를 크게 하회했다.
올해 1~9월 BYD 일본 승용차 시장 판매량 표.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 제공] |
일본 자동차 시장은 자국 브랜드 점유율이 94%에 달하며, 전기차 비중은 지난해 기준 2.2%에 불과하다. BYD는 오프라인 중심의 판매 전략과 유명 배우를 내세운 광고 등을 진행했지만, 약 2년간 누적 판매량은 3188대에 그쳤다.
한국 자동차 시장 역시 국산차 점유율이 80% 이상을 차지하고, 수입차 판매는 일부 브랜드에 집중되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특히 올해 9월 기준, 수입 전기차 월간 판매량은 2753대로 3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보고서는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국내 소비자들의 낮은 선호도는 BYD에 걸림돌이 될 수 있으나, 비교적 높은 브랜드 인지율을 바탕으로 젊은 소비층이나 플릿 판매(렌터카, 법인용 차량)를 공략할 가능성이 있다”라며 “중국 전기 승용차 브랜드의 틈새시장 선점으로 중견 3사 등 국내 업계 내수 경쟁력이 저하되지 않도록 투자 및 협력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라고 강조했다.
한편, BYD는 글로벌 시장 확장을 위해 헝가리, 브라질 등으로 생산 기지를 확대하며 해외 판매를 강화하고 있다.
KAMA 관계자는 “중국 전기차 업체의 국내시장 진출 본격화는 내수 부진이 지속되는 신차 시장에 새로운 도전 과제가 되고 있다”라며 “정부와 업계가 협력해 내수 시장 활성화와 장기적인 연구개발(R&D) 투자 확대 등 전기차 산업 경쟁력 확보 방안을 강구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