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서비스연맹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학비노조)이 2일 오전 서울 용산구 학비노조 대회의실에서 연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자 총파업 선포 기자회견’에서 참가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 |
[헤럴드경제=주소현 기자] 급식과 돌봄 업무를 담당하는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오는 6일 하루 전면 총파업을 선언했다.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학비노조)은 2일 서울 용산구 학비노조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임금, 신분 차별을 끝내기 위해 파업에 나선다”고 말했다.
이들이 파업에 나선 건 임금 인상과 처우 개선 등을 두고 교육부와 시도 교육청 과 협의를 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학비노조는 6월부터 지난주까지 교육부 및 17개 시도교육청으로 구성된 사측과 여러 차례 교섭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는 전체 학교 교직원의 41%에 달한다. 주로 급식과 돌봄 업무를 담당하면서 교무실, 과학실, 도서실, 상담실, 교육복지실, 운동장 등 학교와 교육기관에서 교사와 공무원 업무를 보조한다.
이들은 ▷실질임금 인상 ▷임금체계 개선 협의 기구 마련 ▷급식실 고강도 노동 및 처우 개선 ▷방학 중 비근무자의 생계 해결 등을 요구했다.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학비노조)이 2일 오전 서울 용산구 학비노조 대회의실에서 연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자 총파업 선포 기자회견’에서 민태호(왼쪽에서 두번째) 위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연합] |
또한 학교 급식실 노동자가 열악한 환경으로 채용 후에도 조기 퇴사하는 비율이 늘고 있다고도 지적했다.
정혜경 진보당 의원실에 따르면 학교급식실 조리실무사 중 자발적으로 퇴사한 비율은 2022년 56.7%, 2023년 57.5%, 2024년 60.4%로 해마다 증가 추세다. 6개월 이내 퇴사자도 2022년 17.3%에서 2024년 22.8%로 증가했다.
학비노조는 “노동환경이 열악해 6개월도 버티지 못하는 분이 늘고 있다”며 “신규 채용도 미달이고, 채용된 인원도 정년을 채우지 않고 자발적으로 퇴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학교 비정규직인 교무 실무사들은 “학교 역할이 점점 더 커져 교육 실무사들은 관리자의 업무까지 업무 영역이 확대되고 있지만, 직무 가치는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국 17만명 학교 비정규직 중 6만명가량이 파업에 참여할 것으로 학비노조는 예상했다.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 대표자들이 2일 오후 정부세종청사 교육부 로비에서 이주호 교육부 장관과의 면담을 요구하며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 |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는 작년 3월 31일에도 같은 취지로 총파업을 했다. 당시 서울 시내 학교의 10.47%가 급식 공급에 차질을 빚었고, 해당 학교 학생들에겐 빵과 우유 등 대체식이 제공됐다.
학비노조를 포함해 전국교육공무직본부, 전국여성노조 등으로 구성된 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 대표자 3명은 이날 정부세종청사 교육부 로비에서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과의 면담을 촉구하며 5시간 가량 점거 농성을 벌이다가 경찰의 퇴거 요청에 불응해 연행됐다.
연대회의는 지난주 이 부총리와의 면담을 요구했으나 교육부가 묵묵부답으로 일관했다고 주장했다. 이날 이 부총리와 사전에 면담 약속을 잡지 않고 교육부를 방문한 것으로 전해졌다.
연대회의는 “교육부는 노사 관계 갈등을 방조하고, 학교 비정규직의 저임금 구조를 나 몰라라 하고 있다”며 “부총리가 진정성 있게 노조와 소통하고 정책 기조를 변화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