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미 대표 “강소기업 성장 발판 마련해야”
디엠(대표 김선미)이 골절관련 생체의료부품과 의료기기 핵심기술을 바탕으로 국내시장 점유율 2위를 기록하는 등 주목받고 있다. |
[헤럴드경제(광주)=서인주 기자] 광주에 둥지를 틀고 있는 티디엠(대표 김선미)이 골절관련 생체의료부품과 의료기기 핵심기술을 바탕으로 국내시장 점유율 2위를 기록하는 등 주목받고 있다.
골접합용 정형외과 의료기기를 국내 최초로 국산화한 티디엠은 47종 3500여개의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이미 미국 등 해외 15개국에 진출하면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티디엠은 강점은 정형외과 제품의 개발, 설계, 생산, 가공, 판매 네트워크가 동시에 가능하다는 점이다. 생체의료부품을 생산하는 대부분의 기업이 희망하는 설계와 생산 기술력을 보유하고 사용자와 공동으로 협업해 신제품을 개발하는 축적된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다.
티디엠의 주력제품인 골 접합용 의료기기는 수입 의존율이 높다. 서양인과 동양인의 체격차이가 나는데도 해외수입에 의존하다보니 불편한 점이 발생했다. 이점에서 착안해 김선미 대표는 동료들과 의기투합, 회사를 창업하게 됐다.
티디엠은 지난 2007년 광주에 둥지를 틀었다. 광주테크노파크 타이타늄(티타늄)·특수합금부품개발지원센터에는 각종 장비와 전문인력 지원이 가능했다. 광주테크노파크의 연구진과 공동 연구를 통해 생체의료용 골절용 임플란트 분야에서 신기술을 개발하고 제품을 국산화할 수 있었다.
4일 글로벌 시장 조사업체인 데이터 브리지 마켓 리서치 조사에 따르면, 외상 제품 시장은 2022년 59억1000만달러에서 2030년까지 최대 114억달러로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3~2030년 예측 기간 연평균 성장률(CAGR)은 8.6%에 달한다. 교통사고나 외상으로 골절된 부위, 즉 손과 발, 팔, 다리 등을 수술로 재건하는 의료기기인 트라우마 제품 시장은 의료 장비 산업에서 중요한 분야다. 메드트로닉, 카디널 헬스, 스트라이커, 스미트 앤 네퓨, 드퓨 신테스, 짐머 바이오메트 등 글로벌 기업이 강세다.
티디엠의 골 접합용 의료기기는 골절 등 몸의 뼈에 이상이 생길 경우 수술할 때 사용하는 의료기기다. 주로 머리에서부터 손과 팔의 골절, 얼굴 교정(양악수술) 등에 사용한다. 현재 골 접합용 의료기기 시장은 크게 골절외상, 골반과 대퇴골을 잇는 고관절 및 무릎 부위인 슬관절의 인공관절, 척추 등 세 가지로 나뉜다.
생체의료부품 가운데 정형외과 의료기기 제품 위주로 생산한다. 티타늄 금속을 기반으로 금속 임플란트 의료기기를 개발, 생산, 판매, 수출까지 한다. 생체의료용 임플란트에 이용하는 티타늄은 금속에 비해 약 45% 가벼우면서도 높은 강도와 중량 비율을 제공하는 탁월한 재료다. 생체 적합성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김선미 티디엠대표 |
매출성장세도 눈길을 끈다.
티디엠은 지난해 200억원 매출을 달성했다. 올해는 300억원을 목표로 했는데 국내 의료 사태,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등의 여파로 230억원을 달성할 전망이다.
그동안 지속적으로 R&D에 투자해 다국적 기업의 수입에 의존하던 골절치료용 정형외과 의료기기 국산화를 주도해왔다. 국내에서는 유일하게 골절치료용 정형외과 전 품목을 취급한다. 현직 의사들의 조언과 연구진의 끊임 없는 연구로 한국인 등 동양인의 체형에 맞는 골 접합기구를 개발·공급하고 있다.
김선미 대표는 “국가별 품질인증과 시스템 인증체계도 구축했다. 트라우마 금속 임플란트 제품과 정형외과 제품을 설계·개발하는 전담부서를 신설해 운영하고 있다” 며 “현재 10년 이상 해외 15개 국가에 대리점, 국내에는 300여개의 대리점을 운영하며 시장을 확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순수 국산 기술력으로 만든 제품을 들고 해외 전시회와 학술대회 등을 돌며 정형외과 의료기기 시장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내수시장에 한계가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 이라며 “골절 임플란트 제품 개발 및 생산뿐만 아니라 바이오 제품 개발도 추진중”이라고 밝혔다..
김 대표는 “회사를 창업하고 운영하면서 나 자신 또한 성장하고 발전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처음에는 뭣 모르고 시작했지만 시간이 갈수록 회사를 경영하는 게 즐겁다” 며 “광주시 등 기업지원기관이 지역에 정착해 강소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정책과 제도를 만들었으면 한다”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