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레일 “버스 등 다른 교통편 이용” 권고
노조, 기본급 인상 요구 vs 사측, ‘재정 악화’
전국철도노동조합이 총파업에 돌입한 5일 오전 서울 지하철 1호선 신도림역 승강장에서 승객들이 이동하고 있다. 철도노조 파업은 지난해 9월 이후 1년 3개월 만이다. [연합] |
[헤럴드경제=박지영·안효정 기자] 전국철도노동조합(철도노조)가 5일부터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했다. 영향을 받는 교통편은 고속철도(KTX) 노선과 지하철 일부 노선들이다. 노사는 전날 밤까지 협상을 벌였으나 결국 결렬됐다. 파업 첫날부터 열차편 지연·취소가 속출하면서 출근길 시민들의 불편도 컸다.
5일 한국철도공사(코레일)와 철도노조 등에 따르면 철도노조와 코레일은 전날 밤까지 실무교섭을 벌였지만, 큰 견해차로 접점을 찾지 못했다. 노조측은 파업을 선언했고 5일 오전 9시부터 무기한 파업에 돌입했다. 이에 따라 고속철도(KTX)와 새마을호 등 여객열차와 화물열차 운행 감축이 시작됐다.
코레일은 노조 총파업 돌입에 따라 이미 구축해둔 비상 수송체계 시행에 들어갔다. 코레일은 가용자원을 총동원해 이용객 불편을 최소화한다는 계획이다. 파업 첫날인 이날 출근길 수도권 전철 운행률은 평시 대비 90% 선을 유지했다고 국토교통부는 설명했다.
KTX는 평시 대비 67%(SRT 포함 시 75%), 광역전철은 평시 대비 76% 수준으로 운행됐다. 이용객이 많은 출퇴근 시간대 KTX와 지하철은 대체인력을 투입해 운행률을 최대한 끌어올릴 계획이지만 연쇄 운행지연 등을 피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열차 이용객의 혼란을 막기 위해 코레일은 모바일 앱 코레일톡과 홈페이지, 역 안내방송 등을 통해 안내를 강화할 계획이다.
국토부는 파업 종료 시까지 철도, 버스, 항공 등 관계기관 및 지방자치단체 등과 함께 정부 합동 수송대책본부를 24시간 운영한다. 국토부는 고속·광역버스, 택시, 국내선 항공기 등 가용 가능한 모든 대체교통수단을 최대한 투입해 교통수요를 분산할 방침이다.
노사 협상 쟁점은 임금인상과 처우개선 등이다. 노조는 기본급 2.5% 인상, 성과급 기준 정상화, 안전업무 외주화 중단, 인력감축 중단, 4조 2교대 전환 등을 요구하고 있다. 철도노조 측은 전날 진행된 교섭에서 막판 절충을 시도했지만 사측은 경영진이 책임을 외면했다고 주장했다. 노조 측은 “사측의 입장 변화가 있다면 언제든 교섭에 나설 준비가 돼 있다”고 했다. 코레일은 재정악화 등을 이유로 노조측 요구를 수용키 어렵다고 밝히고 있다.
파업 첫날 열차 지연·취소로 시민들 불편이 컸다. 서울역에서 만난 김모씨는 “9시 28분 대전행 표를 샀는데 갑자기 취소됐다고 문자가 왔다. 나라가 이런데 파업이 웬말이냐. 너무 어이가 없다”고 말했다. 차모씨도 “회사에 가도 파업하면 죄다 지하철 파업 얘기만 한다. 이번에는 특히나 더 파업 세게 할거 같은데 더 걱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철도노조 파업은 지난해 9월 이후 1년 3개월 만이다.
전국철도노동조합이 총파업에 돌입한 5일 오전 부산 동구 부산역에 파업 관련 안내문이 붙어 있다. 철도노조 파업은 지난해 9월 이후 1년 3개월 만이다. [연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