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여파에 상호금융 ‘약한고리’ 우려…두달새 새마을금고 49곳 ‘반성문’

새마을금고·신협 건전성 관리 ‘발등의 불’
‘취약’ 판정 금고 2분기 59곳→3분기 126곳
신협은 부동산·건설업대출 총량관리 시급
부실우려 사업장 경공매 착수 후 6개월 내 완료해야
“정치적 불확실성 반영할 수…방파제 쌓아야”


[새마을금고중앙회 제공]


[헤럴드경제=문혜현 기자] 비상계엄 사태 여파로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되면서 새마을금고 등 상호금융기관이 우리 경제의 ‘약한 고리’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미 건전성·자본적정성 지표가 악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시장 충격이 안팎으로 작용할 경우 부실의 늪을 빠져나오지 못할 수 있다는 것이다.

6일 새마을금고중앙회 수시공시에 따르면 4분기(10월 1일~12월 4일) 들어서만 49개 새마을금고가 경영관리계획을 내놨다. 이는 1~3분기 개별 금고에 대해 새마을금고중앙회가 ‘경영개선조치’를 내린 뒤 제출한 ‘반성문’ 성격이다. 금융소비자와 감독기관에 해당 금고의 경영상태와 조치 내용을 알리기 위한 차원이다.

3분기만 해도 경영실태평가에서 낮은 등급을 받은 금고가 100곳이 넘는 것을 고려하면 아직 수시공시를 내지 않은 금고는 더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중앙회에 따르면 3분기 기준 경영실태평가 4등급(취약)을 받은 금고는 126곳, 5등급(위험)은 5곳이다. 2분기 4등급 판정을 받은 금고가 59개였던 것과 비교하면 대폭 늘어났다. 새마을금고중앙회는 전국 1282개 금고를 매 분기 직후 수익성, 자산건전성, 자본적정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5개 등급으로 분류한다. 4분기 평가는 3월 말 확정된다.

경영실태평가에서 종합 2등급이나 3등급인 경우에도 자산건전성 등급이 4등급, 자본적정성 등급이 4등급이면 수시공시를 통해 조치 내용을 알려야 한다. 대부분 출자금 확대나 부실채권 매각이 주 내용이다.

새마을금고 건전성 지표는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 상반기 개별 정기공시를 내놓은 1187곳 중 연체율이 10% 넘는 금고 수는 218개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연체율이 20%가 넘는 금고도 15곳에 달한다. 상반기 기준 전국 1284개 금고의 연체율 또한 7.24%로, 지난해 말(5.07%)보다 올랐다.

신협도 금융당국으로부터 ‘옐로카드’를 받았다. 금융권에 따르면 최근 금감원은 신협 측에 “부동산·건설 편중 리스크를 강화하라”면서 경영유의사항을 전했다. 지난 6월 실시한 수시검사 결과 부동산·건설업 대출 잔액이 규제 비율을 맞추지 못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오는 29일부터 시행되는 ‘부동산·건설업 대출 한도’ 규정에 따르면 상호금융 조합은 부동산·건설업 대출이 각각 조합 대출 총액의 30%를 넘기면 안 된다. 또 부동산·건설업 대출 합계가 조합 총대출의 50% 이하가 되도록 유지해야 한다.

신협은 올해 상반기 3375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는데, 같은 기간 고정이하여신비율은 지난해 말 4.46%에서 6월 말 6.85%까지 올랐다.

이에 금융당국은 최근 ‘2차 상호금융정책협의회’를 열고 건전성 강화를 위한 규제 개선 추진 계획을 세우기도 했다. 신협과 새마을금고의 경우 중앙회의 최소 경영지도비율(위험가중자산 대비 자기자본 비율)을 2028년까지 현행 5%에서 7%로 높여야 한다.

이밖에 자본확충을 위한 제도개선, 대형조합의 가계대출 관리 강화 등 내용도 담겼다. 새마을금고중앙회 관계자는 “제도 개선 내용 이외에도 올해 말까지 6조원 규모의 부실채권을 털어내는 등 추가 노력을 이어나갈 예정”이라며 “특히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성 평가 결과 부실 사업장에 대해선 금융당국이 제시한 사후관리지침에 따라 경·공매 착수 6개월 안에 처리하도록 실시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신협중앙회 제공]


다만 최근 전 금융권 부실채권이 급격히 늘어나면서 NPL(부실채권정리)업계에서 상호금융권 부실채권 매각이 잘 되고 있지 않은 점, 가격 이견으로 사업장 경공매가 지지부진한 점은 문제로 꼽힌다.

게다가 최근 정치적 불확실성 확대로 부동산 경기가 더 얼어붙고 대출 문도 막힐 경우 부실 처리 속도가 더뎌질 수 있다는 전망도 있다.

이에 일각에선 추가 금리 인하 등 대외변수에 의존하고 있기보다 정치적·경제적 불확실성에 대비해 신속한 체질 개선 작업에 들어가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허준영 서강대 경제학과 교수는 “금융권이 방파제를 쌓고 재발 방지 대책을 세우기보다 금리가 내려가면 해결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부분이 있는 것 같다”며 “만일 미국이 생각보다 금리를 내리지 않으면 우리나라 금리를 제약할 수 있는 부분”이라고 짚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