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크로 ‘댓글 조작’ 막아라”…네카오 ‘비상 대응 체제’ 돌입

카카오 직원이 경기도 성남시 카카오 판교 아지트에 출근하는 모습. 임세준 기자

[헤럴드경제=고재우 기자] ‘탄핵 정국’이 고조되면서 매크로 등을 활용한 댓글 조작과 이로 인한 혼란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네이버와 카카오가 비상 대응 체제에 돌입했다.

대통령 탄핵이라는 사태를 목전에 두고 여야의 ‘여론전’이 극심해지고 있는 만큼, 뉴스 댓글로 인해 혹여 발생할 수 있는 여론 조작 등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다.

윤석열 대통령이 국회로 이동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6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로텐더홀에 야당 의원들이 윤 대통령의 방문을 막기 위해 모여있다. 임세준 기자

6일 헤럴드경제 취재를 종합하면 카카오, 네이버 등은 오는 7일 국회 본회의에서 열릴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 표결을 앞두고 ‘특별 모니터링 기간’ 매크로 직·간접 부서 ‘직원 비상대기’ 등 대책 마련에 나섰다.

매크로란 기술적으로 비정상적인 트래픽을 발생시키는 요소다. 사회적으로도 댓글 등을 통한 여론 조작 원흉으로 지목된다. 이전에도 정치권에서는 댓글 조작을 둘러싼 논란이 심심찮게 발생했었다.

지난 3일 비상계엄 선언 이후 뉴스 수요가 늘면서 기사마다 관련 댓글도 폭발적으로 달리고 있다. 이런 가운데 국내를 대표하는 IT 기업인 카카오, 네이버가 나서 매크로 등 댓글 조작 논란을 사전에 차단하겠다는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우선 카카오는 비상계엄 선언이 있었던 지난 3일부터 매크로 등 관련 ‘특별 모니터링’ 기간을 설정했다. 특별 모니터링 종료 시기는 따로 정해지지 않았다.

이와 함께 카카오는 해당 기간 매크로 관련 모니터링 강화 및 대응 인력 늘리기에 나선다. 세부적으로 댓글 작성 어뷰징 방지 시스템, 도배 댓글 방지 ‘캡차’, 인공지능(AI) 악성댓글 필터링 세이프봇 등 적용한 악성 댓글 제재, 닉네임 신고 등도 평상시보다 강화된다.

네이버 본사 그린팩토리. [네이버 제공]

네이버는 매크로 관련 기술, 기획, 정책, 회원 정보 등 부문 부서 직원들이 비상근무에 들어간다.

또 머신러닝을 통해 정상 혹은 비정상 댓글을 구분하고, 빠르게 차단할 수 있도록 기술 고도화에 나선다.

예를 들어 같은 아이디로 기사별로 동일한 댓글이 달린다거나, 링크 등을 타고 유입돼 동시다발적으로 댓글을 달거나 하는 행위 등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겠다는 것이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