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장도 ‘패싱’?…“정치인 체포 지시 받은 적 없다” 되풀이

조태용 원장 비상계엄 당시 ‘패싱’ 가능성도
軍 김명수·박안수 ‘충암고 계엄라인’에 패싱


조태용 국가정보원장이 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신성범 국회정보위원장과 면담 후 위원장실을 나서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조태용 국가정보원장은 7일 윤석열 대통령으로부터 12·3 비상계엄 당시 정치인을 체포하라는 지시를 받은 적이 없다는 입장을 다시 한번 밝혔다.

국가정보원은 이날 “국정원장은 대통령으로부터 ‘정치인 등을 체포하라’는 지시를 결코 받은 적이 없다”고 밝혔다.

국정원은 이어 “홍장원 전 1차장은 ‘정치인 등 체포 지시’를 국정원장에게 보고했다고 주장하지만 이는 전혀 사실이 아니다”며 “홍 전 1차장은 지시를 받았다는 3일부터 최초 보도가 나온 6일 오전까지 나흘 동안 원장을 비롯한 국정원 내부 누구에게도 이를 보고하거나 공유하지 않았다”고 했다.

조 원장은 전날에도 국회에서 신성범 정보위원장과 면담한 뒤 “비상계엄과 관련해 대통령이 국정원장에게 정치인을 체포하라는 지시를 전혀 한 적이 없다”고 말한 바 있다.

반면 홍 전 1차장은 윤 대통령이 계엄 선포 직후 전화를 걸어와 “이번 기회에 싹 다 잡아들여 정리하라. 국정원에도 대공수사권을 줄테니 우선 방첩사령부를 도와서 지원하라. 자금이면 자금, 인력이면 인력 무조건 도우라고 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조 원장은 홍 전 1차장에게 확인했을 때 ‘그런 사실이 없다’고 했다면서 “국정원은 비상계엄 당시 정치인 체포에 어떤 행동이나 조치를 한 적이 없다”며 “비상계엄과 관련해 어떤 조치를 한 게 있으면 국정원장한테 지시하지 원장을 제외한 다른 사람에게 그런 일을 하는 경우는 없다고 생각한다”고 반박했다.

다만 정치권 안팎에선 12·3 비상계엄 당시 조 원장이 ‘계엄라인’에서 사실상 ‘패싱’ 당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 끊이지 않는다.

조 원장은 외교관 출신인 반면 홍 전 1차장은 육사 43기로, 이번 비상계엄을 주도한 육사 38기인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의 육사 직속후배이다.

군에서는 12·3 비상계엄 선포와 계엄군의 국회 진입 등 실행 과정에서 김명수 합참의장과 계엄사령관을 맡았던 박안수 육군참모총장조차 김 전 장관과 여인형 국군방첩사령부 사령관으로 이어지는 ‘충암고 계엄라인’으로부터 사실상 ‘패싱’ 당한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