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담화-한한회동-탄핵안 부결…급박했던 대한민국의 하루 [용산실록]

윤석열 대통령이 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대국민 담화를 하고 있다. [연합]

 

尹, 계엄선포 사과하며 “책임회피 않겠다” 與, 尹 탄핵안-김 여사 특검법 부결 당론 안철수 제외 국힘 전원 본회의장 퇴장

[헤럴드경제=서정은 기자]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소추안이 7일 부결됐다. 탄핵안 표결 7시간 전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 사퇴를 사과하고, 2선 후퇴를 시사하면서 여권의 결집을 이끌어낸 것으로 풀이된다. 윤 대통령은 대국민담화를 통해 “법적, 정치적 책임 문제를 회피하지 않겠다”며 “정국안정 방안을 당에 일임하겠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10시부터 용산 대통령실에서 대국민담화를 통해 비상계엄 사태에 관한 입장을 밝혔다. 윤 대통령은 4일 새벽 계엄 해제 발표 담화 이후 침묵을 이어왔다.

담화문에서는 ‘송구’, ‘사과’라는 표현이 총 세 차례 담겼다.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저는 12월 3일 밤 11시를 기해 비상계엄을 선포했다”며 운을 뗀 윤 대통령은 “이번 비상계엄 선포는 국정 최종 책임자인 대통령으로서의 절박함에서 비롯됐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그 과정에서 국민들께 불안과 불편을 끼쳐드렸다”며 “매우 송구스럽게 생각하며 많이 놀라셨을 국민 여러분께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담화문 맨 마지막에도 윤 대통령은 “국민 여러분께 심려를 끼쳐드린 점 다시 한 번 머리 숙여 사과드린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추가적인 계엄 발동에 대해서 일축했다. 윤 대통령은 “제2의 계엄과 같은 일은 결코 없을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임기를 포함해 앞으로의 정국 안정 방안은 우리 당에 일임하겠다”며 “국정 운영은 우리 당과 정부가 함께 책임지고 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여권 내에서는 비상계엄 사태 후 대국민사과와 2선 후퇴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흘러나왔다. 윤 대통령이 그간의 침묵을 깨고 여권의 요구에 답하면서 ‘단일대오’ 기류도 빠르게 형성됐다.

윤 대통령의 담화가 끝난 뒤, 한덕수 국무총리와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는 총리 서울공관에서 긴급 회동을 가지며 빠르게 움직였다. 한 총리와 한 대표는 비상계엄 사태 이후 악화한 민심과 국정 수습책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 대표는 한 총리에게 “민생 경제와 국정 상황에 대해 총리께서 더 세심하고 안정되게 챙겨주셔서 국민들이 불안하지 않게 해 달라”고 당부했다고 기자들에게 전했다. 국민의힘 의원들도 이날 의원총회에서 윤 대통령 탄핵안과 김 여사 특검법 반대를 당론으로 결정했다. 결론적으로 윤 대통령의 이날 담화는 여권 결집을 끌어낸 것이다.

탄핵안은 일단 부결됐지만, 이제 혼란스러운 정국은 기약없이 이어질 전망이다. 야당은 이날 정기국회 직후 임시국회를 열어 탄핵안을 재발의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날 국회 본회의에서 김건희 여사의 주가조작 사건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 임명안 재의투표도 부결됐다. 국회의원 300명 전원이 표결에 참여한 가운데, 찬성 198표 반대 102표로 집계됐다. 여당의 이탈표가 최소 6표가 나온 것이다. 해당 법안은 윤 대통령이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한 법안으로, 통과에는 참여 인원 3분의 2 이상의 찬성이 필요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