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시에도 트럼프 행정부 출범 앞둬…슈퍼달러 속 정치 불확실성까지
지금 상황 더 안 좋아, 환율 하단이 1400원…9일 장중 1430원 터치
비상계엄 사태를 둘러싼 정치적 불안정에 대한 자본시장의 우려가 현실화하고 있는 9일 오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전광판에 이날 거래를 시작한 코스피와 원/달러 환율, 코스닥 지수가 표시돼 있다. [연합] |
[헤럴드경제=홍태화·정호원·홍승희 기자] 탄핵정국 여파로 환율이 요동치고 있는 가운데 가장 최근 사례인 박근혜 전 대통령 사태 땐 3개월 만에 평균 환율이 76.53원 폭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물론 당시에도 달러 강세 영향에 기초한 환율 상승이었지만, 정치 불확실성도 상당 부분 영향을 미쳤다.
최근엔 상황이 더 안 좋다. 트럼프 효과로 ‘슈퍼달러’가 돌아왔단 점은 비슷하지만, 환율 레벨 자체가 달라졌다. 당시엔 1200원을 상단으로 봤지만, 지금은 1400원이 하단이다. 달러가 훨씬 더 강해졌고, 원화 체력이 그만큼 약해졌다.
9일 한국은행경제통계시스템(ECOS)에 따르면 2016년 월 평균 원/달러 환율 주간거래종가(오후3시30분기준)는 9월 1106.77원에서 12월 1183.3원으로 폭등했다. 환율은 태블릿 보도가 나오기 시작한 10월(월 평균 1127.65원)부터 오르기 시작했다. “하야는 절대 없다. 차라리 탄핵하라”는 청와대 발표가 나온 11월엔 월 평균 환율 1163.22원을 기록, 한달 만에 35.57원이 상승했다.
원/달러 환율은 박 전 대통령 탄핵안이 국회에서 발의된 12월에도 상승하며 안정세를 되찾지 못했고, 2017년 1월에도 월 평균 1182.24원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월 평균 환율은 2월(1143.36원)이 돼서야 1100원대 중반으로 내려왔다.
물론 정치 불확실성만 고환율을 이끈 건 아니다. 당시 달러는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가 금리를 올릴 수 있단 전망 속에 강세를 나타냈다. 트럼프 효과도 있었다. 그때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당선되며 미국 경기가 호황을 누릴 수 있단 기대감이 퍼졌다. 여기에 우리나라 정치 불확실성까지 겹치면서 환율 오름세에 불을 붙였다.
지금도 상황이 비슷하다. 두번째 트럼프 시대를 앞두고 슈퍼달러가 돌아왔고, 미국 기준금리 인하 속도가 느려질 수 있단 ‘신중론’이 대두했다. 가뜩이나 환율 상승을 부추기는 요소들이 즐비하다. 그런데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 계엄을 선포하고, 이에 탄핵 정국까지 이어지면서 원화 가치가 치명상을 입었다.
지난 3일 밤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하고 계엄군을 국회에 투입하자 환율은 4일 오전 12시 20분 1442.0원까지 뛰었다. 2022년 10월 25일(장 중 고가 1444.2원) 이후 약 2년 1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이날 환율 변동 폭(야간 거래 포함)은 41.5원 기록했다. 코로나 여파 등으로 달러가 급격한 강세였던 지난 2020년 3월 19일(49.9원) 이후 4년 8개월만에 최대 폭을 나타냈다.
이후에도 탄핵 국면이 이어지면서 환율은 안정세를 되찾지 못 했다. 6일 원/달러 환율 야간거래종가(7일 새벽 2시 기준)는 거래일(5일)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 30분 기준, 1415.1원) 대비 7.9원 오른 1423.0원를 기록했다. 비상 계엄 사태가 외환시장을 강타한 지난 3일 야간 거래 종가(4일 새벽 2시 기준, 1425.0원) 이후 불과 3거래일 만에 1420원대를 재돌파했다.
9일 오전에도 환율은 추가로 올라 장 중 한때 1430원을 기록키도 했다. 주간거래 장중 고가 기준으로 지난 2022년 10월 26일(1432.4원) 이후 약 2년 2개월 만에 최고치다.
최진호 우리은행 이코노미스트는 “정국 불안정 이슈가 단발성이 아닐 수 있겠다는 인식이 확산되며 (투자) 심리가 많이 취약해진 것 같다”며 “대외적으로 트럼프 트레이드 이슈로 강달러 환경인데, 국내 수출과 경기도 안 좋은 상황이라 1450원선 터치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정성진 KB국민은행 강남스타PB센터 PB팀장도 “비상계엄을 선포할 때 1440원까지 갔다”며 “탄핵 정국 속에선 그 정도는 열어놔야 한다”고 설명했다.
민경원 우리은행 이코노미스트는 “정국 불안 연장이 원화 위험자산 투자심리를 극단적으로 위축시키고 있다”며 “비상계엄에서 시작된 정국 불안 장기화는 국내증시 외국인 자금 이탈을 부추기는 재료이기 때문에 오늘도 원화 위험자산 포지션 청산으로 이어질 확률이 높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환율이 1500원에 육박할 수 있단 우려에 대해 “코멘트를 할 때가 아니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