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규제와 이커머스 경쟁으로 불황
인력 감축으로 장기적 비용 절감 효과
![]() |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장을 보는 시민들 모습. [연합] |
[헤럴드경제=정석준 기자] 대형마트 업계가 경영 효율을 위해 희망퇴직 카드를 꺼내고 있다. 인건비 절감으로 경영 효율화를 노리는 행보로 풀이된다. 그러나 비용 절감 효과는 미지수다. 인건비가 오르는 가운데 희망퇴직에 대한 호응 역시 높지 않다는 분석에서다.
9일 대형마트 업계에 따르면 이마트는 오는 23일까지 희망퇴직 신청을 받는다. 신청 대상은 밴드1(수석부장)∼밴드3(과장) 인력 중 근속 15년 이상(입사일 기준 2010년 1월 1일 이전), 밴드4(대리)∼밴드5(사원) 인력 중 근속 10년 이상(입사일 기준 2015년 1월 1일 이전) 직원이다.
대상자에게는 법정 퇴직금 외에 월 기본급의 20∼40개월치 특별퇴직금과 근속연수별 1500만∼2500만원의 생활지원금, 직급별 1000만∼3000만원의 전직 지원금을 지급한다. 퇴직 후 10년간 연 700만원 한도로 이마트 할인도 받을 수도 있다.
이마트 관계자는 “급변하는 유통 환경에서 지속가능한 경쟁력을 확보하고, 새로운 도전을 준비하는 직원들의 새출발을 지원하고자 2차 희망퇴직을 시행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조직 축소를 통한 효율을 강조하고 있지만, 효과가 언제 나타날지는 지켜봐야 한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실제 이마트는 올해 3월에도 사상 첫 희망퇴직 신청을 받았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이마트 직원 수는 지난해 12월 말 2만2744명에서 올해 6월 말 2만2121명으로 623명 줄었다. 희망퇴직이 없었던 2022년 12월 말 2만3844명에서 2023년 6월 말 2만3295명으로 감소한 것과 74명 차이가 난다. 2023년 6월 말에서 2024년 12월 말로의 감소 폭인 551명과는 72명 차이다. 희망퇴직으로 약 70명이 추가로 줄었다.
희망퇴직 이후 인건비는 되레 늘었다. 이마트가 급여 명목으로 지출한 비용은 지난해 상반기 1조1192억원에서 올해 상반기 1조2392억원으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퇴직급여도 688억원에서 1034억원으로 급증했다. 대형마트 업계 한 관계자는 “구조조정으로 인력이 줄어도 남은 인원에 대한 인건비는 증가하기 때문에 비용 절감 효과가 단기적으로 나타나기는 어려울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경쟁사인 롯데마트도 마찬가지다. 롯데마트는 지난해 11월 말, 전 직급별 10년 차 이상 사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 신청을 받았다. 롯데쇼핑에 따르면 할인점(대형마트) 직원 수는 2023년 6월 말 1만988명에서 12월 말 1만616명으로 372명 줄었다. 이는 희망퇴직이 없었던 2022년 12월 말(1만1405명)에서 2023년 6월 말까지 417명 줄어든 것보다 작은 규모다.
대형마트 업계가 장기적으로 비용 효율화를 준비하는 건 위기 의식과 관련이 깊다. 이마트는 지난해 창사 이래 첫 연결기준 영업손실(469억원)을 기록했다. 올해 희망퇴직, 점포 리뉴얼 등으로 쇄신에 나선 배경이다. 그 결과 올해 3분기 별도기준 영업이익은 1228억원을 기록하며 4년 만에 분기 최대실적을 거뒀다.
롯데마트는 올해 3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4.9% 감소한 1조4421억원으로 집계됐다. 영업이익 역시 11.6% 줄어든 451억원이었다. 다만 그로서리 중심으로 리뉴얼을 진행한 마트 점포의 매출액은 5.6% 증가했다.
서용구 숙명여대 경영학과 교수는 “정부의 의무 휴업일 규제와 이커머스와 경쟁으로 경쟁력이 떨어지는 것을 고려하면 대형마트 입장의 조직 개편은 필수적인 전략으로 볼 수 있다”며 “인력을 줄이는 것 외에도 점포를 리뉴얼하거나 남은 공간을 임대업으로 활용해 수익성을 확보하려는 움직임도 뚜렷하다”고 말했다.
![]() |
비즈3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