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턴기회 보장해주세요”서울시 청년기획관 만난 대학생

2026년 청년정책 5개년 기본계획 반영
일자리·주거·복지·생활·교육·문화 등 의견제시


김철희 서울시 미래청년기획관이 서울 대학생 미래 리더와의 소통 간담회서 답변하고 있다. [서울시 제공]


[헤럴드경제=박병국 기자] 서울시가 2026년부터 향후 5개년에 대한 청년정책 기본계획 수립에 반영하기 위해 서울 소재 대학 총학생회, 동아리연합회장 등 100여명의 대학생을 만났다.

시는 지난 12일 오후 광진구 파이팩토리에서 ‘서울 대학생 미래 리더와의 소통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시는 청년 기본 조례 제6조에 따라 일자리·주거·생활안정 등 청년정책에 관한 기본계획을 5년마다 수립·시행하여야 한다. 시는 지난 2021년 수립한 2025 서울청년 종합계획, 일명 ‘청년행복프로젝트’를 시행 중이다.

청년행복프로젝트는 ▷청년 스스로 경쟁력을 키워 ‘도약’하고 ▷경제적·사회적 자립으로 가는 이행기에서 겪는 불안으로부터 ‘구출’하고▷경제적 부담 없이 다양한 ‘기회’를 만날 수 있도록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김철희 서울시 미래청년기획관이 그간의 서울시 청년정책 추진 경과와 앞으로의 정책 방향을 설명했다. 발표를 들은 대학생들은 일자리, 주거, 복지·생활, 교육·문화, 참여·권리 등 청년정책 전반에 걸친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주요 의견으로는 ‘서울시와 기업, 학교, 학생 간 일자리 정책 거버넌스 구축’ ‘서울시 인증 중소기업 확대 및 대학생 인턴 기회 보장’ 등이 있었다.

서울의 주거비가 상대적으로 높은 만큼 주거비 부담과 주거환경에 대한 의견도 있었다. 특히, 주거비 부담과 관련해서 현재의 청년 월세지원 사업이 도움이 되지만 청년들의 현실을 반영해 정책이 한층 고도화되길 바란다는 의견이 공감을 얻었다.

동아리 등 청년 공동체 활성화, 전공 서적 등 교육 도서 지원, 희망두배 청년통장 등 자산 형성 지원 확대 등 청년들의 실제 필요와 욕구를 반영한 의견도 나왔다.

서울시는 이번 간담회를 시작으로 청년들의 다양한 목소리를 담아 2025년 중 ‘2030 청년정책 기본계획’을 수립·발표할 계획이다.

김철희 서울시 미래청년기획관은 “이번 간담회를 통해 사회에 첫 발을 내디딜 준비를 하는 대학생들의 생생한 의견을 직접 들을 수 있어 뜻깊게 생각한다”라며, “앞으로도 오늘 참석한 미래 리더를 비롯해 다양한 청년들과 정책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를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