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8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진행된 ‘미래 철도기술 선도를 위한 철도 인프라 디지털트윈(DT) 도입 및 활용 방안’ 정책토론회 모습. [국가철도공단 제공] |
[헤럴드경제=신혜원 기자] 국가철도공단은 국회 의원회관에서 ‘미래 철도기술 선도를 위한 철도 인프라 디지털트윈(DT) 도입 및 활용 방안’을 주제로 정책 토론회를 개최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토론회는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안태준·정준호 더불어민주당 의원, 권영진 국민의힘 의원이 공동 주최하고 국가철도공단, 한국철도건설협회,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 공동 주관했다. 철도분야의 디지털 혁신과 미래 전략을 논의하기 위해 학계, 연구기관, 산업계의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첫 번째 발제자로 나선 김은형 ㈜올포랜드 상무는 ‘철도인프라 디지털트윈 중장기 로드맵’ 수립 계획을 발표하며, 현실과 가상 세계의 융합을 통한 스마트 철도의 미래상을 제시했다.
이어 장문석 국가철도공단 철도산업정보센터장은 철도 역사를 이용하는 고객 중 교통약자, 여행객 등 다양한 상태에 따라 최단 경로를 추천해주는 ‘길 안내 플랫폼’ 사례를 소개하며 철도이용객 서비스의 디지털 전환에 대해 설명했다.
김현기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첨단인프라융합연구실장은 ‘디지털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재난 안전 관리 서비스 기술’ 개발 현황과 디지털 기술을 통한 폭염, 극한 강우 등 기후변화에 따른 안전관리 대응 전략을 발표했다.
차경렬 현대건설㈜ 상무도 철도 프로젝트의 효율적 수행을 위한 공동 데이터 환경(CDE)의 도입 필요성과 중요성을 해외 사례를 통해 설명하며, 디지털 기술의 글로벌 동향과 시사점을 공유했다.
발표 이후 진행된 토론회에서 좌장을 맡은 최상현 한국교통대 교수와 각 기관 전문가들이 패널로 참여해 철도 인프라의 디지털 체계구축을 위한 효율적인 방안과 디지털화가 가져올 안전성 향상, 경제적 효과 등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교환했다.
이성해 국가철도공단 이사장은 “디지털 트윈 기술의 도입은 철도 인프라 혁신을 가속화하고 운영 효율성과 안전성을 높이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며 “국가철도공단은 이러한 디지털 전환을 통해 미래 철도 기술을 선도하고, 국민에게 더욱 신뢰받는 철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