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군·불출된 실탄 실제 규모 늘어날듯
대한민국과 전 세계를 충격과 공포로 몰아넣은 12·3 비상계엄 당시 투입된 군과 경찰이 최소 5200여명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비상계엄 선포 및 해제로부터 보름가량 지나면서 ‘서울의 밤’ 진실의 베일이 조금씩 벗겨지고 있는 가운데 최소 군 병력 1500여명과 경찰 3700여명이 투입된 것으로 파악됐다.
또 군은 권총과 기관단총, 저격총 등 각종 화기를 지참했으며 100여대의 차량을 동원하고 적어도 1만발 이상의 실탄을 소지한 것으로 확인됐다.
백승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방부로부터 제출받아 19일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육군특수전사령부와 수도방위사령부는 비상계엄 당시 총 107대의 군용차량을 동원했다.
45인승 병력 수송용 대형버스 26대와 25인승 중형버스 15대, 군용 오토바이 25대와 함께 방탄 성능을 갖춘 소형전술차량 2대도 투입됐다. 이미 알려진 대로 특수작전항공단의 블랙호크 헬기(UH-60P) 12대는 특전사 707특수임무단 요원들을 태우고 그날 밤 국회로 야간비행했다.
계엄군은 현재까지 특전사와 수방사, 국군방첩사령부, 정보사령부 등 총 1500여명이 투입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특전사가 1139명으로 가장 규모가 컸다.
국가급 대테러 특수부대로 유사시 ‘참수작전’에서 핵심 임무를 수행하는 국군 최정예 부대인 특전사 707특임대 요원이 197명, 1공수여단 400명, 3공수 271명, 9공수 222명, 특수작전항공단 49명 등이다.
특전사에게는 국회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더불어민주당 당사 장악 임무가 주어졌다. 방첩사도 국회와 선관위 과천 청사 등에 200여명을 투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국회로 나간 방첩사 요원 40명은 국회의원 등 주요 인사 체포조 역할을 맡았으며 요인을 체포한 후 수방사 B1벙커에 구금하려 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수방사에서는 군사경찰단과 제1경비단 소속 211명이 투입됐다. 이 가운데 61명은 장교나 부사관 등 간부가 아닌 병사로 확인됐다.
이는 윤석열 대통령이 국회의 탄핵소추안 가결을 앞둔 12일 오전 발표한 대국민담화를 통해 “사병이 아닌 부사관 이상 정예병력만 이동시키도록 한 것”이라고 주장했던 것과 배치된다.
정보사는 북파공작 등 임무를 수행하는 특수요원을 비롯해 30여명을 투입했다.
일각에선 3일 밤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직전 경기 성남 판교 정보사 100여단 사무실에서 정보사 특수요원들과 구삼회 육군 제2기갑여단장, 방정환 국방부 전작권전환TF장이 함께 있었다는 관측도 나온다.
김병주 민주당 의원은 이날 라디오에 출연 “전작권전환TF장 같은 경우 요새 (한미 간) 전작권 협의가 없어 한직인데 언제든지 차출해 쓸 수 있는 예비(자원)”이라며 “2기갑 여단장이 갔다는 건 더 체크해 볼 사항”이라고 말했다.
계엄군 규모는 향후 조사 결과에 따라 더 증가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앞서 경찰은 15일 군 병력 1500여명이 계엄 과정에 투입된 것으로 파악했다며 향후 조사 과정에서 더 늘어날 수도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비상계엄 당시 출동한 계엄군은 방탄모와 방탄조끼, 야간투시경 등을 착용하고 저격총과 K1 기관단총, 권총 등으로 무장했으며 삼단봉과 테이저건, 드론재밍건 등도 챙겼다.
특히 현재까지 확인된 계엄군에 불출된 실탄은 1만발에 달한다.
특전사 707특임단은 보통탄 3960발과 공포탄 1980발, 수방사는 실탄 5048발과 공포탄 2939발을 불출했다.
아직 파악되지 않은 특전사 1·3·9공수여단과 방첩사까지 포함하면 무장과 실탄 불출 규모는 더욱 늘어날 수밖에 없다.
다만 군은 실탄을 계엄군 개개인에게 불출하지는 않고 탄통에 통합 보관했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와 함께 비상계엄 당시 최소 3700여명의 경찰이 투입된 것으로 드러났다.
용혜인 기본소득당 의원이 공개한 지난 3일과 4일 국회와 용산 등에 배치된 56개 기동대의 출동 인원과 근무배치 시간 등을 기록한 근무일지를 보면 윤 대통령의 계엄 선포 직후 서울경찰청 소속 기동대 전 직원에게 출근 명령이 떨어졌다.
비번 근무자와 연가, 병가 인원들까지 포함됐다. 경찰은 3일 밤 11시부터 11시30분 사이에 전파된 비상동원령에 따라 자정께 사무실로 출근한 뒤 4일 새벽부터 국회와 대통령실 등으로 출동했다. 이들은 국회에서 비상계엄 해제 요구결의안이 가결된 뒤에도 3시30분께까지 새벽 근무를 이어갔다.
경찰버스와 차벽트럭, 방송조명차 등도 대거 동원됐다. 국회에 32개 기동대 2100여명, 윤 대통령의 관저와 집무실이 자리한 용산에 24개 기동대 1600여명이 출동했다. 신대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