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수본부장 휴대전화 확보·기획관 소환……지휘부 정조준
수사 본격화…군사경찰은 체포조 관련 연락·수갑 챙겨 출동 의혹
‘12·3 비상계엄 사태’를 수사 중인 검찰이 19일 오후 경찰 국가수사본부(국수본) 수사기획조정관실을 압수수색했다. 사진은 이날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 국수본의 모습. 국수본은 지난 3일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이후 국군방첩사령부의 요청에 따라 주요 정치 인사를 체포하기 위한 ‘체포조’에 강력계 형사들을 지원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연합뉴스> |
[헤럴드경제=김현경 기자] ‘12·3 비상계엄 사태’를 수사 중인 검찰이 ‘체포조’ 동원 의혹을 받는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와 국방부 조사본부 관계자를 전격 압수수색하고 강제수사에 나섰다.
검찰은 특히 경찰에서 비상계엄 수사 총책임자인 우종수 국가수사본부장의 휴대전화까지 압수수색하는 등 지휘부를 정조준했다.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본부장 박세현 서울고검장)는 19일 경찰청 국수본과 영등포경찰서·국방부 조사본부 관계자 10여 명을 압수수색했다.
우 본부장과 경찰청 윤승영 수사기획조정관, 전창훈 수사기획담당관, 이현일 수사기획계장, 강상문 영등포서장을 비롯해 박헌수 국방부 조사본부장의 휴대전화가 포함됐다.
검찰은 윤 조정관과 전 담당관도 바로 소환해 조사했다.
국수본은 3일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이후 국군방첩사령부(방첩사) 요청에 따라 주요 정치인 등을 체포하기 위한 ‘체포조’에 강력계 형사 10명을 지원했다는 의혹을 받는다.
검찰은 앞서 방첩사 관계자 조사 과정에서 계엄 당일 방첩사가 국수본 관계자와 연락한 사실을 확인하고, 강 서장과 윤 조정관 및 현장에 나갔던 영등포서 형사들을 조사한 바 있다.
국수본은 당일 오후 11시 32분께 방첩사 측이 국수본 실무자에게 연락해 ‘여의도 현장 상황이 혼란하다’며 안내할 경찰관 명단을 요청해 강력팀 형사 10명의 명단을 제공한 사실은 있다고 인정하면서도 실제 현장에 투입했는지는 밝히지 않았었다.
반면 검찰은 방첩사 요청대로 경찰이 일선 경찰서 형사 10명을 실제로 국회 앞에 보내 출동을 대기시켰다고 보고 체포조 활동과 무관하지 않다고 의심하고 있다.
검찰은 국수본이 방첩사 측에 형사 10명의 명단과 함께 전화번호를 넘겨 준 정황도 포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방첩사가 국회의사당 현장에 이미 투입된 형사에게 직접 전화를 걸어 접촉을 요청했다는 진술도 나온 만큼 검찰은 휴대전화 통신 기록 등을 토대로 이런 정황을 확인할 것으로 보인다.
검찰은 당시 방첩사가 경찰 국수본에 인력 지원을 요청하면서 ‘체포’라는 말을 언급하는 것을 들었다는 경찰 중간간부 진술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국방부 조사본부는 계엄 당시 계엄사령부 합동수사본부 요청에 따라 군사경찰 수사관 10명을 출동시킨 의혹을 받는다.
이에 대해 조사본부는 방첩사로부터 수사관 100명을 파견해 달라는 요청도 받았으나 응하지 않았고, 수사관 10명도 계엄 해제 의결로 복귀시켰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검찰은 수방사 벙커 내 구금시설을 관리하는 국방부 조사본부가 군 체포조와 관련한 연락을 주고받고, 수갑을 챙겨 현장에 출동한 정황도 포착한 것으로 파악됐다.
방첩사와 경찰이 주요 정치 인사를 체포하면 국방부 조사본부가 이들을 구금하려 한 것 아닌지 검찰은 의심한다.
경찰과 국방부 조사본부는 비상계엄시 계엄사 직제에 따라 국가정보원과 함께 계엄사 산하 합동수사본부를 구성하게 되는 주체들이다.
검찰은 압수물 분석과 윤 조정관 등 조사 내용을 토대로 우 본부장과 박 본부장 등도 소환조사하며 양 윗선을 겨냥한 수사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우 본부장 등은 압수수색 당시 참고인 신분이었지만, 수사 경과에 따라 피의자로 전환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우 본부장은 “참고인의 휴대전화를 압수한 것에 대해 매우 유감”이라며 반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