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담대 연체율 지속 상승해 18.57%
지방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중심으로 추가 부실이 발생할 수 있다는 한국은행 경고가 나왔다. 비수도권에 미분양 주택이 쌓여 있는 상황에서 최근 아파트 초기 분양률이 저조하고 부동산 시장 부진으로 인허가 등이 지연될 가능성까지 커지고 있어 프로젝트 부실화될 가능성이 크다는 지적이다.
한국은행이 24일 발표한 하반기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9월 말 기준 부동산 PF 사업성 평가에서 유의(C) 또는 부실우려(D) 등급을 받은 부실 PF 위험노출액(익스포저)은 22조9000억원으로 파악됐다. 이는 전체 부동산 PF 익스포저 210조9000억원의 10.9% 수준이다.
유형별로 보면 토지담보대출이 13조5000억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브릿지론 4조8000억원 ▷본PF 4조5000억원 순이었다. 사업 초기 단계에서 부실 PF가 주로 발생한 것이다.
업권별로는 ▷상호금융 10조9000억원 ▷저축은행 4조4000억원 ▷증권 3조8000억원 ▷여신전문금융 2조7000억원 ▷보험 7000억원 ▷은행 4000억원 등으로 비은행권에 부실이 집중돼 있다. 사업 초기 토지를 담보로 대출하는 토담대가 제2금융권에서 취급돼 온 영향으로 풀이된다.
PF 연체율은 3분기 기준 3.51%로 전분기 대비 0.05%포인트 줄었으나 부실 위험도가 가장 큰 토담대의 경우 같은 기간 14.42%에서 18.57%로 연체율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은은 지방 부동산 시장 부진으로 부실 부동산 PF 추가 발생 위험이 있다고 진단했다.
한국부동산원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 11월 기준 수도권의 아파트 가격은 전년 대비 1.8% 상승한 반면 지방은 1.6% 하락했다. 또한 미분양주택이 9월 말 기준 비수도권에만 5만3000채 적체돼 있고 아파트 초기분양률도 같은 시기 비수도권이 45%까지 쪼그라든 상황이다. 지역별 부동산 양극화가 깊어지고 있다는 의미다.
이처럼 지방 부동산 시장 부진이 지속되면 토지매입, 인허가 등 절차가 지연될 가능성이 높고 분양 단계로 넘어가더라도 공사 대금을 제때 회수하지 못하면서 해당 프로젝트가 부실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한은은 분석했다. 우리나라 부동산 PF는 사업자금의 상당 부분을 차입과 선분양 대금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어 자금조달 금리와 분양률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한은은 연립·다세대, 오피스텔 등 비아파트 시장도 주의해야 한다고 봤다. 연립·다세대 거래가 위축되면서 지난달 이들 주택의 매매가격은 수도권과 지방이 전년 동월 대비 각각 0.2%, 1.2% 하락했다. 비주택 부동산에 대한 공급과잉 우려도 계속 제기되고 있다.
정부는 사업성 평가에서 유의·부실우려 등급을 받은 PF가 자율매각이나 재구조화 또는 경·공매 등을 통한 강제 처분에 나서도록 했고 시행사의 자기자본 확충 기반 마련 등을 골자로 하는 부동산 PF 제도 개선방안도 마련해 시행하고 있다.
한은은 “부동산PF는 정부의 정책적 노력에 힘입어 자금조달 여건이 대체로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면서 “정부 정책 시행으로 부동산PF의 구조적 한계가 개선되면 여러 차례 반복돼 온 PF대출 급증과 관련 리스크 현실화를 예방하고 안정적인 부동산 개발 여건 형성, 부동산 시장의 경기 순응성 완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금융기관의 대출심사가 강화되고 부동산 개발업체의 자본확충 부담이 증가하는 만큼 공급 위축에 대한 우려도 있어 향후 정책추진 과정에서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은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