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혼부부 자가거주 1년 전보다 올라
자가 평균 거주기간 11.1년…임차 3.4년
서울 중구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주택과 아파트 단지의 모습.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 관련 없음. [연합] |
[헤럴드경제=홍승희 기자] 지난해 우리나라 신혼부부의 절반 가까이는 ‘자가’에 거주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적으로 자가 보유 및 점유 비율이 1년 전보다 감소한 가운데, 신혼부부나 청년만 ‘내집 거주’가 늘어나 저금리 정책대출이 이들의 주거안정에 도움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국토교통부는 이 같은 내용의 ‘2023년도 주거실태조사 결과’를 27일 발표했다. 이는 매년 국민 주거생활에 관한 전반적인 사항을 파악하고 주택정책 수립 등에 참고하기 위해 실시하는 표본조사다. 이번 조사는 전국 6만1000가구를 대상으로 했다.
지난해 전국 자가보유율은 1년 전(61.3%) 대비 0.6%포인트 감소한 60.7%를 기록했다. 점유형태에서도 자가가 57.4%로 전년 대비 0.1%포인트 감소했으며, 임차와 무상은 각각 38.8%, 3.7%로 동일했다.
하지만 신혼부부는 같은 기간 자가보유율이 43.6%에서 46.4%로 2.8%포인트 증가했다. 청년도 13.2%에서 14.6%로 자가보유율이 확대됐다. 특례보금자리론과 신생아특례대출 등 신혼부부를 위한 각종 정책대출이 효과를 발휘한 것으로 풀이된다.
자가가구의 연소득 대비 주택가격 비율을 나타내는 PIR은 전국 6.3배로 전년과 동일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수도권이 8.5배, 광역시 등이 6.3배, 도지역이 3.7배 순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소득대비 집값 비율이 유지됐음에도 불구하고, 생애최초 주택을 마련하기까지 기간은 1년 전보다 4개월 늘어난 7.7년으로 집계됐다.
25일 서울 시내 아파트 신축 현장 모습. <연합뉴스> |
신생아. 기사 내용과 관련 없는 사진 [연합] |
신혼 부부는 73.9%가 아파트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혼부부 자가가구의 PIR은 5.9배로 1년 전(6.5배)보다 완화됐으며, 임차가구 RIR(월소득 대비 임대료 비율)도 18.3%로 전년(19.3%) 대비 감소했다.
청년의 경우 전년 대비 자가점유율은 13.2%에서 14.6%로 증가했지만, 여전히 임차로 거주하는 가구비율이 81.1%로 높고, 비아파트에 거주하고 있는 가구비율도 타 특성가구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기준 청년가구의 자가가구 PIR은 6.0배로 2022년(6.7배)에 비해 감소했고 임차가구RIR은 17.4%로 전년과 유사한 수준이다.
신혼부부는 가장 필요한 주거지원책으로 ‘주택 구입자금 대출지원(50.3%)’, ‘전세자금 대출지원(29.0%)’, ‘장기 공공임대주택 공급(5.7%)’ 순으로 꼽았으나, 대다수가 임차 거주중인 청년가구는 ‘전세자금 대출지원(37.9%)’을 ‘주택구입자금 대출지원(21.8%)’보다 우선순위로 꼽았다.
고령가구의 자가점유 비율(75.7%)은 특성 가구 중에서 가장 높았으며, 아파트(45.4%), 단독주택(40.8%) 비율이 높았다.
현재 주택에서 거주한 평균 기간은 8년으로 전년(7.9년) 대비 0.1년 상승했다. 지역별로는 도지역이 10.1년으로 가장 길게 거주하고 있으며, 광역시 등 7.9년, 수도권이 6.6년으로 거주하고 있었다. 점유형태별로는 자가로 거주하는 가구가 11.1년, 임차가구가 3.4년을 평균적으로 거주하고 있었다.
현재 주택에서 거주하고 있는 기간이 2년 이내인 가구의 비율은 32.2%로 전년(33.7%) 대비 1.5%포인트 감소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35.5%로 가장 높았고, 광역시 등(31.4%), 도지역(27.4%) 순으로 주거를 이동하는 비율이 높았다.
주택을 보유해야 한다고 응답한 가구 비율은 87.3%로 전년(89.6%) 대비 2.3%포인트 감소했다. 연령별로는 40세 미만인 가구주의 79.4%가 주택이 필요하다고 응답했으며 60세 이상은 90.5%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전체 가구 중 주거지원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가구는 40.6%로, 2022년(37.6%) 대비 3.0%포인트 증가했다. 지원 방식은 ‘주택구입자금 대출지원(35.6%)’, ‘전세자금 대출지원(24.6%)’, ‘월세보조금 지원(11.0%)’, ‘장기공공임대주택 공급(10.7%)’ 순으로 높았다.
점유형태별로 보면 자가가구는 ‘주택구입자금 대출지원(57.3%)’, 전세가구는 ‘전세자금 대출지원(37.9%)’이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