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운송 플랫폼 제도화 방안’ 논의
4일 오전 경기도 고양시 자유로JC 인근에서 화물차들이 도로를 지나고 있다. 임세준 기자 |
[헤럴드경제=신혜원 기자] 화물운송 플랫폼 사업을 새로운 업종으로 신설하고 등록제로 관리하는 내용의 화물운송 플랫폼 제도화 방안이 공개됐다. 플랫폼 사업자가 이용약관을 위반하는 경우 행정제재를 가하거나 개선명령을 내리는 등 사업자 관리방안도 담겼다.
국토교통부는 27일 오후 서울역에서 개최되는 화물운송산업 업계간담회에서 이러한 내용의 ‘화물운송 플랫폼 제도화 방안’을 논의한다.
이날 간담회는 국토부 주재로 진행되는 것으로, 공공한국교통연구원과 플랫폼업계 전국24시콜, 원콜, CJ, 카카오 등 플랫폼업체, 전국운송사업연합회, 전국운송주선연합회가 참여한다. 국토부 연구용역을 통해 한국교통연구원이 마련한 화물운송 플랫폼 제도화 방안을 발표하고, 업계 관계자들과 플랫폼의 제도적 관리 필요성, 제도화 방안의 적절성을 다룰 예정이다.
이날 간담회에서 발표될 ‘화물운송 플랫폼 제도화 방안’의 주요 내용은 화물운송 플랫폼 사업을 ‘화주, 운수사업자, 화물차주를 매개해 자율적인 화물운송거래가 이뤄지도록 화물운송 플랫폼을 제공하는 사업’으로 정의하고, 업종을 신설하는 것이다.
플랫폼에 대한 최소한의 관리·감독 필요성과 민간서비스인 플랫폼에 대해 제한적 개입 필요성을 고려해 플랫폼 사업을 신고제와 허가제의 중간인 등록제로 관리한다. 다만 신규업체 진출, 무료 플랫폼에 대한 과도한 책임부과 등을 감안해 유료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에 등록의무를 부과한다. 등록권한 주체는 국토부 장관으로 설정하고, 등록 시 사업계획서와 이용약관을 제출하도록 해 등록기준에 맞는지 심사한다.
플랫폼 사업자는 스스로 정한 플랫폼 사업계획서와 이용약관을 준수해야 하며, 이를 위반하는 경우 과태료, 사업정지, 등록취소 등 행정제재를 받을 수 있다. 또한 국토부는 이용자 보호 및 운송시장 질서 확립을 위해 필요한 경우 플랫폼 사업자에 대해 개선명령을 할 수 있다. 아울러 플랫폼의 서비스 만족도, 요금 등에 대한 평가를 통해 우수플랫폼을 선정해 플랫폼 사업자가 자발적으로 서비스를 개선하도록 유도한다.
이용자 또한 과적요구, 불법다단계, 불법주선 등 화물자동차법을 위반하는 경우 플랫폼사 이용이 제한될 수 있다.
이 같은 제도화 방안을 통해 플랫폼이 활성화될 경우 화주-차주 직거래로 거래단계가 축소되고, 산업구성원의 합리적 의사결정을 지원하며 운임미지급·허위매물 등으로부터 차주를 보호하는 등 다양한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된다. 아울러 국토부는 공차 운행이 감소돼 화물운송의 효율성이 크게 증가하고, 나아가 화물운송 거래의 투명화, 디지털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김근오 국토부 물류정책관은 “화물운송 플랫폼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는 지금 시점이 화물운송 플랫폼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지원하면서 플랫폼을 이용하는 화주와 운수종사자 간 공정한 거래환경이 조성될 수 있는 제도화 방안 검토 적기라고 판단한다”며 “이번에 제도화를 위한 기틀을 마련한 만큼, 앞으로도 플랫폼 관련 업계와 이용자 의견에 귀 기울이며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