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차업계, 이구동성 “리스크 문제 커질 우려”
경기 평택시 당진항 자동차 부두 [연합] |
[헤럴드경제=김성우 기자] 원·달러 환율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후 처음으로 장중 1470원대 중후반까지 치솟으면서, 해외에서 차량을 들여오는 국내 수입차 브랜드 사이에서도 우려감이 커지고 있다.
환율은 차량 판매로 인한 수익성과 물량 인도 등 문제와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문제여서다. 다만, 환율로 인해 직접 소비자들에게 미치는 단기적인 가격 영향은 없을 것이라는 것이 업계의 관측이다.
27일 수입차 업계에 따르면 현재 수입차업계에서 GM한국사업장과 지프를 포함해 미국에서 차량을 생산하는 업체들은 ‘달러화’로, 독일 3사(메르세데스-벤츠, BMW그룹, 폭스바겐그룹)와 볼보 등 브랜드는 ‘원화’로 차량을 들여오고 있다. 또 푸조는 유로화로 차량을 국내에 들여오는 구조다.
이들은 분기·연간 등 장기적인 목표에 따라 차량을 들여오고 있다. 갑작스럽게 오른 환율이 이들 업체에 미치는 영향이 큰 편은 아니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지난해 말께부터 1300원대의 비교적 높은 환율이 유지돼 왔고, 급격한 환율변동성이 다양한 경제적 리스크로 이어질 수 있다는 부분에서는 바람직한 상황은 아니라는 중론이다.
한 수입차업계 관계자는 “직접적인 피해는 미국에서 미화로 차량을 들여오는 업체라면 차량 판매로 인한 수익성에 영향을 줄 정도로 문제가 될 수 있다”면서 “글로벌 본사는 판매량과 현지 시장상황, 수익성 등 다양한 차원에서 차량을 내주는 만큼 한화로 차량을 들여오는 업체들도 이같은 고환율 상황이 이어질 경우 영향이 갈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고환율 기조가 이어지며 생길 수 있는 ‘소비심리 위축’은 또 다른 변수다. 실제 코로나 특수 종료로 인한 불경기 기조가 올해 수입차 업계를 덮치면서, 다수의 수입차 브랜드는 수익성에 큰 타격을 입었다. 더불어 전기차 케즘(일시적 수요정체기)으로 인해 각 브랜드의 전기차 주력 상품군 또한 판매량이 급감하면서(1~11월 21.2%↓) 업체들의 수익률에는 부정적인 영향으로 작용했다. 내년도에도 국내 소비자들의 주머니 경제가 나쁠 것으로 관측되는 상황에서 겹친 ‘단기적 고환율’은 수입차 업체들에겐 또 다른 불편한 이유가 될 수밖에 없다.
다만 소비자들이 직접적으로 느끼는 수입차 가격에는 큰 변동이 없을 것이란 것이 업계의 관측이다. 다양한 브랜드의 차량이 시장 상황에 맞춰 현재의 가격 포트폴리오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부 환율로 인한 피해가 생기더라도 장기적인 관점에서 견조한 판매량을 유지하는 것이 각 브랜드 입장에서는 더욱 바람직한 모습이기도 하다.
한 완성차업계 관계자는 “당장 차량을 들여오는 가격에 차이가 생겼다고 해서 업체들이 판매가격을 조정할 수 있는 시장 구조가 아니다”라면서 “대부분 수입차 브랜드가 ‘프리미엄 브랜드’로서 입지를 다지고 있는데, 환율문제로 가격이 조정된다고 하는 것도 말이 되지 않는다”라고 강조했다.
다른 수입차업계 관계자도 “판매가격은 글로벌 브랜드의 정책과 비전이란 의중이 많이 담기고, 각 브랜드의 그나라 사업 규모에도 영향을 주는 요소”라면서 “소비자들이 조그만 가격 변화에도 예민할 수밖에 없기에, 큰 규모의 글로벌 브랜드들은 가격을 바꾸는 것이 쉽지 않다”고 전망했다.
한편 불경기 기조 속에서 각 브랜드들은 새로운 차량을 출시하면서 시장 상황에 대응하고 있다. 국내 수입차 시장을 견인하는 BMW, 메르세데스-벤츠와 토요타, 포드 등 브랜드는 11~12월 속속 신차를 내놓은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