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환경 개선 위한 업계 노력 수반돼야”
“중소형 업체 인력 확보 여력 지원해야”
HD현대중공업 울산조선소 전경.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 관련 없음. [HD현대중공업 제공] |
[헤럴드경제=고은결·박혜원 기자] 조선업계의 인력난에 대해 전문가들은 외국인 숙련 인력 확보라는 단기 처방은 물론, 젊은 내국인 인력 양성을 통한 근본 경쟁력 강화가 중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과거 세계를 석권했던 일본 조선업이 대규모 인적 구조조정 이후 숙련노동자를 잃으며 몰락의 길을 걸은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단 지적이다.
29일 양종서 수출입은행 수석연구원은 “인력 확보 실패로 품질 경쟁력을 잃는 악순환에 빠지지 않으려면 젊은층 인력을 양성해야 한다”며 “외국인 인력 유입으로 생산량은 반등해도 품질 개선으로 이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양 연구원은 인력 감소로 외국인 근로자가 늘고, 국내 숙련공들이 들어올 자리는 줄어드는 현 상황이 마치 일본 조선산업의 쇠락 직전과 닮은꼴이라고 지적했다. 과거 일본은 1990년대 중반까지 조선산업 세계 1위 국가였지만, 기술인력 고령화에 사양산업으로 규정하고 정책적으로 산업 규모를 줄였다. 이에 후발주자로 부상한 한국과 중국에 훨씬 뒤처졌을뿐 아니라, 내수 시장도 인력 규모가 부족한 상황이다.
양 연구원은 이어 “단기적으로는 외국인 인력의 숙련도를 높이는 작업이 필요하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산업을 유지하기 위해선 내국인 인력 양성이 필수”라고 강조했다.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기술 숙련도를 높이기 위한 지원을 이어가되, 결국 내국인 숙련공 확보 기반을 마련해야 한단 얘기다. 생산성 하락과 수주 제한, 숙련 인력 축소에 따른 외국인 노동자 확대, 내국인 채용 규모 감소라는 악순환 고리를 끊기 위해서다.
이에 조선업 기피 심리를 해소할 업계의 노력이 필수라다고 봤다. 불황 시기에 조선소를 떠난 국내 근로자들과 고급기술자들이 돌아오지 않는 상황은 다른 산업 대비 낮은 임금, 힘들고 열악한 노동환경 등이 원인으로 꼽힌다. 업계에선 흔히 ‘국민 소득이 높아져 사람들이 피하는 것’이라 항변하나, 고강도·고위험 노동환경 개선부터 적극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양 연구원은 “조선사들은 장기적 관점에서 손익을 따져 (근로환경 개선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가뜩이나 인력 유입이 적은 조선업의 규모를 키우려면 중소형 조선사의 성장 기반을 다져야 한단 분석도 나온다. 박재현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박사는 “산업 생태계가 무너지면 새로운 우수 인력이 진입하지 않고, 그 순간 산업 전체가 어려워진다”며 “당장 발등의 불을 끄기 위한 유동성 지원뿐 아니라, 근본적인 경쟁력 강화를 위한 일감 확대 등을 도와야 한다”고 말했다.
업체들이 연구개발(R&D)과 영업 등의 필요성을 느낄 수 있는 일감을 제공해야 인력 확보 등으로 이어질 것이란 설명이다. 박재현 박사는 “이 같은 물량을 받아오는 역할을 할 지원 주체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한 “대기업 중심으로 짜인 정부 지원 구조 개선도 이뤄져야 한다”며 “액화천연가스(LNG)선 화물창 기술 등 대형 조선소에서만 향후 적용 가능한 R&D 과제 일색”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인력 중심 현장에서 선박 건조 공정 스마트화(스마트 야드)로의 빠른 전환이 병행돼야 한단 견해도 나온다. 자동화와 로봇 기술 등이 도입되는 스마트 야드는 인력부족 문제와 생산성·안전성 향상이 가능하다. 조선·해양산업 인적자원개발위원회는 ‘2024년 조선·해양산업 인력현황’ 보고서를 통해 “우리나라 조선산업의 미래는 건조 기술의 고도화, 스마트 야드의 실현 여부에 달려 있다고 볼 수 있다”며 “정부에서는 단기적인 성과보다 중장기 로드맵을 기반으로 보다 정교한 R&D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