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류 충돌이 원인” vs “그걸로 설명 안돼”…전문가들 의견 분분

무안공항 방콕발 여객기 추락사고 현장. [연합]


[헤럴드경제=김성훈 기자] 29일 일어난 무안국제공항 여객기 참사의 주요 원인으로 ‘버드 스트라이크(조류 충돌)’에 따른 기체 고장이 지목되고 있는 가운데, 그것만으로 이같은 사고가 일어나기 어렵다는 반론도 제기되고 있다. 조류 충돌이 일어난 엔진 말고도 다른 엔진과 제동장치도 작동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는 지적이다.

29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사고 여객기는 이날 오전 8시54분께 무안공항 활주로에 접근해 착륙을 시도했고, 무안공항 관제탑은 8시57분께 조류 활동(조류 충돌)을 경고했다. 사고기는 2분 후인 8시59분께 조난신호 ‘메이데이’를 보냈다. 그 사이 조류와 충돌이 있었던 것이라는 추정이 나온다.

사고기는 9시3분께 랜딩기어(바퀴)를 내리지 않은 채 당초 착륙해야 하는 방향(01활주로)의 반대 방향인 19활주로를 통해 착륙했다. 그러나 활주로 끝단에 이를 때까지 속도를 줄이지 못하고, 공항 끝단 구조물에 부딪쳐 화재가 발생했다.

전문가들은 랜딩기어가 작동하지 않은 점이 사고의 직접적 원인이라는 점에 대부분 의견이 일치했다. 랜딩기어가 작동해야 브레이크가 걸리는데, 사실상 제동장치가 없어진 채 비행기 몸통에 해당하는 동체로 착륙하다 사고가 났다는 것이다.

최기영 인하대 항공우주학과 교수는 “동영상을 보면 랜딩기어가 안 펴지고, 속도가 거의 줄지 않으면서 충돌했다”며 “비행기는 여러 브레이크 장치가 있는데 랜딩기어가 작동하지 않으면 엔진이 역추진하며 에어브레이크 역할을 하는 날개 위판들이 들려야 하는데 이것도 작동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연합뉴스에 말했다.

랜딩기어 미작동의 원인은 현재로서는 확정할 수 없지만, 조류 충돌이 유력한 원인으로 지목된다.

김규왕 한서대 비행교육원장은 “갈매기 등 새들이 엔진으로 들어가면 엔진도 망가지고, 거기에 연결된 유압시스템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며 “유압 시스템이 이착륙할 때 랜딩기어를 올리고 내리는데 그 부분이 망가졌을 수 있다”고 연합뉴스에 말했다.

그러나 조류 충돌로 한쪽 엔진이 고장나더라도 다른 쪽 엔진이 정상 작동한다면 랜딩기어가 작동할 수 있었다는 지적도 있다. 한쪽 엔진 고장만으로는 이러한 대형참사가 벌어지기 어렵고, 모든 엔진이 고장났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최기영 교수는 “추정하기는 항공기 양쪽 엔진에 다 문제가 생긴 거 같다”며 “엔진이 작동하지 않으면 비행기 전체가 먹통이 되고, 조종사 명령이 전달이 다 안 될 수가 있다”고 말했다.

무안공항 여객기 사고 순간 모습 [MBC 캡처]


이에 일부 전문가들은 조류 충돌 이외의 기체 결함, 정비 불량 가능성도 조사해봐야 한다고 지적했다고 연합뉴스는 전했다.

김인규 한국항공대 비행교육원장은 “랜딩기어 3개가 모두 안 나온 것은 매우 드문 현상이다. 조류 충돌만으로 일어났다고 보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다”며 “기체결함 여부도 살펴봐야 한다”고 말했다.

안오성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박사도 “단일 사고로는 절대로 떨어지지 않는다는 것이 항공기 설계의 첫 번째 철학”이라며 “하나의 결함만으로 이러한 사고가 발생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는 “조류 충돌과 같은 물리적 충격으로 한쪽 엔진 유압펌프가 작동하지 않더라도 다른 엔진으로부터 랜딩기어에 동력이 공급된다”며 “이도 안되면 축압기라는 장치도 있는데 이 3가지가 모두 고장이 났다는 것이 이해되지 않는다”라고 덧붙였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