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사고 당시 관제사 2명 근무…경력 5년·3.5년”

국토부, 무안 여객기 참사 대응 8차 브리핑
“이날 저녁 美교통연구위, 보잉 측 도착”
“관제사 면담내용 공개, 사조위 판단 기다려야”
“146명 신원확인, 33명 DNA 분석 및 지문채취”


주종완 국토교통부 항공정책실장(왼쪽)이 30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무안 여객기 사고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주 실장, 유경수 항공안전정책관, 김홍락 공항정책관. [연합]


[헤럴드경제=신혜원·홍승희 기자] 무안국제공항 여객기 참사 사고조사에 참여하는 미국 교통안전위원회(NTSB)와 제작사 보잉 측 관계자가 30일 저녁 인천공항을 통해 입국한다. 이날 오후 3시께 사고기 블랙박스가 김포공항 시험분석센터에 도착한 만큼 사고 원인 합동조사가 본격적으로 이뤄질 예정이다.

주종완 국토부 항공정책실장은 이날 오후 정부세종청사 기자실에서 8차 브리핑을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앞서 국토부는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사조위)와 미국 NTSB, 보잉, 엔진제작사인 CFMI와의 합동조사를 통해 블랙박스 손상 정도를 확인하고 데이터 복구 및 추출 작업을 진행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아울러 국토부는 이날부터 내년 1월 4일까지 사고기와 같은 기종인 보잉 737-800 기종을 운항하는 6개 항공사를 대상으로 정비이력에 대한 전수조사를 실시한다는 방침이다. 이날 오전에도 보잉 737-800 기종 제주항공 7C101편이 랜딩기어 문제로 회항하고, 해당 기종에 대한 우려가 커지자 특별점검에 나선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주항공 39대 ▷티웨이 27대 ▷진에어 19대 ▷이스타 10대 ▷에어인천 4대 ▷대한항공 2대 등이 전수조사 대상이다.

‘동체착륙 중 전원 셧다운’, ‘기체 내 유독가스 유입’, ‘항공유 미배출’ 등 참사 원인과 관련해 여러 주장이 나오고 있지만 국토부는 일단 비행기록장치(FDR)와 조종실음성기록장치(CVR) 등 블랙박스 확인이 먼저라는 입장이다.

주 실장은 “여러가지 추정들을 근거로 말씀드리는 것보다 블랙박스가 입수가 됐고, 조사를 하기 위한 준비가 다 끝났기 때문에 조사를 하면 어떤 이유에서 사고가 발생했는지 과학적으로 말씀드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합동조사가 오늘 시작되는데 블랙박스의 상태, 조사가 가능할지 검토가 들어갈 것”이라며 “어느정도 정리가 되면 (국민의) 관심이 많은 사안이기 때문에 사조위에서도 속도감있게 조사하지 않을까 생각하고, 그 과정에서 필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사조위에서 이날 조종사와 교신한 관제사에 대한 면담 및 조사도 착수한 가운데 사고 당시 근무한 관제사 2명은 각각 경력 5년과 3.5년인 것으로 파악됐다. 유경수 국토부 항공안전정책관은 관제사의 교신 및 지시 내용에 대해 “여러가지 정황을 묶어서 규명해야 한다”며 “항공기 기체상황과 주변상황, 관제사 판단 등을 종합해서 부분부분 밝혀질 때마다 말씀드릴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국토부는 관제사 면담내용 공개 여부와 관련해 “사조위 조사관이 현장에서 면담을 한 것인데 그 자료가 중요한 자료로 사용될 것으로 본다”며 “어느정도 시점에 면담했던 결과나 내용들이 공개될지 그 여부부터 한 번 사조위에 판단요청을 기다려봐야할 것 같다”고 했다.

또한 국토부는 신속한 신원확인을 위해 관계기관 협력 강화 및 장비 추가 등 조치를 취하고 있다. 이날 오후 2시 30분 기준 사고 사망자 179명 중 146명의 신원을 확인했고, 33명은 DNA 분석 및 지문채취를 통해 확인 중이다. 경찰청이 신원확인, 유가족 지원 등 신속한 사고수습을 위해 ‘경찰청 현장지원단’을 경무관(과학수사심의관)에서 치안감(형사국장)으로 격상하고, 국과수 법의관 등 전문 검안인력 26명이 현장에 배치됐다. 현장에는 신속DNA분석기 3대를 추가배치(총 7대) 운영할 예정이고, 국과수와 협력해 지문 채취가 안 된 시신 신원을 확인하겠다는 설명이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