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기업까지 참전한 티몬 매각…이번엔 ‘새 주인’ 구할까

EY한영, 서울회생법원에 조사보고서 제출
티몬·위메프 모두 청산가치가 더 높아
중국 중핵그룹 계열사 인수의향 밝혔지만
“국내기업이 우선협상대상자 될 가능성 커”


전자상거래(이커머스) 플랫폼 티몬·위메프의 대규모 판매대금 정산 지연 사태로 인해 환불받지 못한 피해자들이 속출하고 있다. 29일 오전 서울 강남구 신사동 티몬 본사 건물이 폐쇄되어 있다. 임세준 기자


[헤럴드경제=신현주 기자] 지난해 대규모 미정산 사태를 빚고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밟고 있는 티몬·위메프(티메프)에 대해 중국 기업이 인수 의향을 밝히고 나섰다. 회생계획안 제출 기한이 연장되는 등 지지부진하던 M&A(인수·합병) 과정에 다시 속도가 붙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국영 중핵집단유한공사(CNCC·중핵그룹) 계열의 사물인터넷(IotT)데이터그룹이 최근 티몬 인수의향서(LOI)를 제출했다. 앞서 국내에서도 2곳의 기업이 티메프 인수 의향을 밝힌 상태다.

티메프 M&A는 ‘스토킹 호스(Stalking Horse)’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해 놓고 공개경쟁 입찰을 병행해 더 좋은 조건을 제시하는 원매자가 나타나면 추가 협상을 이어가는 방식이다.

조인철 법정관리인은 통화에서 “중국계 CNCC에서 LOI를 내고 관심을 표명했다”며 “인수 후보기업 중 적극적인 곳이 나오면 조건부 우선협상대상자로 정해놓은 뒤 공개입찰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인수전 협상에서는 익명을 요구한 국내 기업이 유리한 고지에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 기업 참여에 대해 “현재로서는 국내 기업이 우선협상대상자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매각 주관사인 EY한영회계법인이 티몬에 대한 실사 조사보고서를 지난달 27일 서울회생법원에 제출한 만큼, 추가 인수 희망자가 나타날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회생계획안 제출기한은 다음 달 7일로 한 차례 연장됐지만, 우선협상대상자 지정은 법원 일정과 무관하게 진행된다.

EY한영은 보고서에서 티몬은 청산가치가 136억1000여만원으로 계속기업가치인 마이너스(-) 928억9000여만원보다 높다고 봤다. 티몬을 청산하는 것이 계속기업으로 사업을 영위하는 것보다 경제성이 있다고 결론을 내렸다.

EY한영이 티몬의 재산 상태를 조사한 결과 수정 후 자산총계는 702억5000여만원, 부채총계는 1조191억여원으로 파악됐다. 부채총계는 회생채권이 1조91억여원으로 대부분을 차지한다. 판매자 상거래채권이 5955억원, 양수금이 1460여억원, 전자결제대행사(PG사) 구상채권이 791억여원 등이다. 티몬의 비영업자산은 본사 사무실 등 임차보증금 6억여원에 그쳤다.

위메프에 대해서도 계속기업가치보다 청산가치가 높다는 결론을 내렸다. 위메프의 수정 후 총자산은 486억원, 부채총계는 4462억원이다. 위메프의 계속기업가치는 마이너스(-)2234억원이고, 청산가치는 134억원으로 파악됐다.

실사보고서에서 EY한영은 구영배 대표가 운영해온 큐텐이 한국의 티몬·위메프·인터파크커머스를 인수하고 동남아 점유율과 유통망 큐익스프레스를 활용해 수익성을 개선하고 나스닥 상장을 목표로 삼았다고 적었다.

하지만 거래액 확대를 위해 역마진 프로모션 등 비정상적인 영업을 하면서 자금 사정이 악화했고 상품권 거래를 늘리고 정산 주기를 연장하는 등의 방법으로 자금을 조달하려 했으나 늘어나는 적자를 감당하지 못해 미정산 사태가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티몬의 상품권 거래액은 2020~2021 평균 8146억원이었는데 2022년 1조3000억원, 2023년 2조7000억원, 지난해 1~7월 1조8000억원 등으로 늘었다.

티몬은 큐텐그룹에 넘어간 뒤 특수관계자에 1349억원을 대여해줬으나 아직 회수하지 못했다. 큐텐그룹 중간지주 역할을 하는 티몬글로벌 채무 상환을 위한 대여금 1000억원과 큐텐 운영자금 지원 등을 위한 대여금이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