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로 대학로 ‘광역치매센터’ 건대입구역으로 확대 이전
[게티이미지 뱅크] |
[헤럴드경제=박병국 기자] 오세훈 서울시장의 ‘치매연수원’ 설립 공약이 폐기된 것으로 뒤늦게 확인됐다. 서울시는 치매연수원 설립 대신 현재 운영중인 서울시광역치매센터(이하 광역센터)를 확대 이전하기로 했다.
5일 헤럴드경제의 취재를 종합하면 시는 지난 2022년 10월 ‘서울시 치매연수원 설립 및 운영 컨설팅 용역’을 진행했지만, 용역 결과 ‘치매연수원이 실효성이 없다’는 결론이 나면서 사업을 진행하지 않기로 했다.
치매연수원은 오 시장의 ‘안심치매 2.0 정책’ 공약의 일환이었다. 급속한 고령화와 치매환자 증가에 대비하기 위한 목적이다. 시는 치매정책 및 서비스 개발 연구 전담기관 부족, 치매관련 시설 종사자의 전문성 결여 등을 치매연수원의 설립 필요성 근거로 꼽았다. 시는 컨설팅 용역을 진행하면서 5000만원의 예산을 투입했다. 하지만 용역 발주 두 달 만인 같은해 12월에서 나온 최종보고서가 치매연수원이 실효성이 없다고 결론내면서 사업은 무산됐다.
서울시 관계자는 “광역센터와 치매연수원의 역할이 겹치는 측면이 많아 연수원 사업은 진행하지 않기로 했다”고 말했다.
시는 사업이 무산되면서 치매연수원을 설립을 이유로 기부채납 받았던 건물 일부에 광역센터를 확대 이전하기로 했다. 이 건물은 건국대역 앞에 지어질 20층 규모의 업무시설이다. 광역센터는 이 건물의 4~6층에 들어선다. 400평(1322㎡ )규로 현재 종로 대학로에 있는 곳보다 4배 가량 커졌다. 이전은 2028년 완료된다. 치매연수원에 포함됐던 치매 정책 연구 기능은 서울시광역치매센터가 맡게 된다. 광역센터는 25개 자치구내에 있는 치매안심센터를 관리하는 기능을 맡고 있다.
건대입구역에 들어사는 20층 업무시설 조감도. 서울광역치매센터는 ‘공공임대업무시설’로 표기된 4~6층을 쓰게 된다. [서울시 제공] |
시 관계자는 “(이전할 사무실은) 기부채납을 받은 것으로 기존에 들어가던 임대료 등의 추가 예산은 들어가지 않는다”고 말했다.
다만 서울시가 치매연수원 설립 필요성의 주요 근거로 제시했던 연구 전담 인력이 이번 이전 확대로 보강될지는 미지수다. 서울시 관계자는 “인력 보강에 대해서는 아직 논의가 이뤄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광역센터의 인력은 2022년 11명에서 올해 13명으로 늘어났지만, 이중 연구 인력은 2명으로 변함이 없다.
한편 국내 치매 인구 수는 꾸준히 늘고 있다.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치매센터의 ‘대한민국 치매 현황 2023’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약 84만 명이었던 65세 이상 추정 치매환자는 2022년 93만5000명으로 11% 이상 증가했다. 이후에도 추정 치매환자 수는 늘어나 2040년 약 226만 명, 2050년 약 314만 명에 달할 것으로 추산됐다. 이중 서울에만 2022년기준 15만6000여명이 있을 것으로 추산된다.
치매환자 관리 비용도 늘어나고 있다. 1인당 치매관리비용은 2017년 2012만원에서 2022년 2020만원으로 증가했다. 같은기간 국가치매관리비용도 14조2000억원에서 20조8000억원으로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