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이 만든 ‘미래 집’ 상상 속 라이프스타일 눈앞에 [CES 2025]

참가사 중 최대규모 전시관 마련
가족 건강·에너지 절약까지 챙겨


삼성전자가 CES 2025에서 참가 기업 중 가장 넓은 3368㎡ 규모의 전시관을 꾸렸다. 사진은 삼성전자 모델이 스마트싱스 하이라이트존을 소개하는 모습. [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가 7~10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 CES 2025에서 가족 건강부터 우리집 에너지 절약까지 손쉽게 챙길 수 있는 미래 라이프스타일을 선보인다.

‘모두를 위한 AI’를 주제로 내건 삼성전자는 자사 인공지능(AI) 기술과 스마트싱스를 앞세워 한층 개인화된 AI를 경험할 수 있는 ‘홈(Home) AI’ 솔루션을 제시할 계획이다.

삼성전자 전시관 규모는 이번 CES 2025 참가 기업 중 가장 넓은 3368㎡(약 1019평)에 달한다. 전시관은 다양한 가족 구성원들의 요구를 반영한 5가지 유형의 집으로 꾸며졌다.

먼저 ‘효율적인 집’에선 ‘스마트싱스 에너지’로 가정 내 에너지 사용량을 전월 또는 전년 동월과 비교하며 절약하는 일상을 소개한다. 가사노동 소요 시간을 줄여주는 일체형 세탁 건조기 ‘비스포크 AI 콤보’와 로봇청소기 ‘비스포크 AI 스팀’도 만나볼 수 있다.

‘건강을 챙겨주는 집’은 사람의 움직임과 주변 소리까지 수집·분석하는 스마트싱스 앰비언트 센싱(Ambient Sensing) 기술, 웨어러블 기기로 수집한 건강 지표를 AI로 분석해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삼성 헬스로 가족의 건강을 돌보는 모습을 선보인다.

‘사랑하는 가족들을 돌볼 수 있는 집’은 스마트싱스와 연결된 센서가 집에서 부모님의 낙상을 감지하면 바로 가족들에게 알림을 보내 대처하도록 돕는 케어 서비스를 보여준다. 반려동물 품종을 자동 인식하는 펫 케어 서비스도 경험할 수 있다.

‘생산성을 높여주는 집’에선 업무나 학습 생산성을 높여주는 삼성 노트북 ‘갤럭시 북5 프로’, ‘북5 360’을 만나볼 수 있다. 갤럭시 북5에 탑재된 ‘AI 셀렉트’ 기능으로 텍스트뿐 아니라 이미지 내 텍스트, QR코드를 검색해 필요한 정보를 손쉽게 찾는 경험도 할 수 있다.

‘새로운 경험을 보여주는 집’은 삼성 TV로 오르세 미술관, 뉴욕현대미술관, 아트 바젤 등에 전시된 작품을 볼 수 있는 경험을 선보인다. 2017년 ‘더 프레임(The Frame)’ TV에 적용된 삼성 아트 스토어는 올해부터 Neo QLED 8K와 Neo QLED, QLED TV에서도 제공된다. 라스베이거스=김현일 기자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