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일왕,법흥왕,공양왕,육룡이..
고려태조가 신라 마지막왕 경순왕의 손자를 실직군왕에 봉했다. 사진은 삼척 실직군왕릉. |
울진 왕피천 계곡을 낀 산은 금강송군락지로 실직국 마지막 왕이 6세기초 신라군에 맞서 성을 쌓고 항전한 곳이다. |
[헤럴드경제=함영훈 기자] 동해바닷가 철길, ‘동해선’ 개통식이 열린 삼척은 역사가 바뀔 때 마다 등장한다.
고조선과 사국시대(고구려, 백제, 가야, 신라)의 갈림길인 원삼국(마한, 변한, 진한)시대 후기, 남북국시대(신라, 발해)에서 고려로 넘어가는 시기, 고려에서 조선으로 넘어가는 시기에 늘 등장한다.
백두대간에 가로 막혀 이 지역이 역사의 대세에서 큰 의미를 갖지 못할 것 같지만, 제국의 패권다툼에서 삼척이 중요한 이유는 패자 중 잔존세력이 부흥을 노리거나, 기습세력이 백두대간을 방패삼아 후방을 칠 수 있는 곳이기 때문이다.
▶백두대간 동쪽 좁고 긴 요충지의 중심, 삼척= 백두대간을 기준으로 국토의 두 갈래 중 동해안은 좁더라도 무시할 수 없었고, 그 중심에 삼척이 있었다.
지금의 동해시, 태백시가 모두 삼척이었다가 분리됐다. 삼척탄좌 활황기에 한때 35만명의 인구로 전국 7위에 랭크되기도 했다.
원삼국시대~사국시대에 걸쳐 실직국이 건재했다. 가야가 멸망하던 6세기 초까지 신라에 항전했다.
신라가 국토의 남부를 부분통일 한 이후에 완전 말살될 것 같았던 실직국 역사는 고려 태조가 경순왕의 손자에게 실직군왕을 부여하며 부활한다. 신라를 지우고 실직을 살린 것이다.
삼척 해양레이바이크는 궁촌-초곡-용화를 오간다 |
고려말 때엔 목숨 만을 살려주기로 하고 나라를 넘긴 공양왕을 이성계-이방원이 비밀리에 자객을 보내 살해하면서 고려의 문을 최종적으로 닫은 곳도 삼척(궁촌)이다.
비슷한 왕조교체기 이성계를 포함한 그의 선조 ‘육룡’ 중 우두머리는 삼척(미로)을 근거지로 살다 준경묘에 묻혔다.
▶베일에 가려진 실직국 524년 신라에 병합= 6세기 이후의 기록은 명확한데, 그 이전 실직국의 이야기는 그리 널리 알려지지 않았다.
경주를 중심으로 작은 세력에 불과했던 계림의 사로국은 훈족, 인도 등 외국과의 화친과 결혼동맹 등을 통해 앞선 문명을 일궈갔고, 개국한 지 200년 가량이 지난 AD 2세기부터 주변국 정벌에 나선다.
서기 102년 지금의 경주시 북부 안강읍의 음즙벌국, 대구의 서쪽 경산에 있던 압독국을 손에 넣었고, 185년엔 의성 일대 조문국을 병합했으며, 249년엔 문경-상주-예천 일대 사벌국을 장악했다. 청도에 있던 우유국 정벌도 이 무렵이다.
포항에는 501년과 503년 두차례 걸쳐 신라임을 증명하는 비를 세운 것으로 보아 완전한 정벌이 늦었던 것으로 보인다.
실직국은 524년 공식 정벌됐다.
삼척 정라동에 있는 이사부독보기념관 |
신라장군 이사부가 505년 실직부 사령관이라는 칭호로 삼척에서 출항해 울릉도,독도를 512년에 정벌했지만, 이는 실직국이 신라에 흡수됐다기 보다는 강한 나라의 요청을 받아들여 출항기지를 내준 것으로 해석하는 것이 타당하다. 신라 입장에선 ‘지배’라고 주장하고 싶겠지만, 실직국 사람들의 생각은 달랐다.
왜냐하면 같은 실직국인 울진에서는 신라의 실직국 간섭에 저항하는 백성들의 항의가 이어졌고, 신라의 땅으로서 신라의 법제를 적용하는 시점이라고 세운 울진 신라비가 524년 지어졌다.
실제로 신라 등의 기습에 급히 왕이 피한 왕피천 변 울진 금강송 군락지에선 안일왕이 성을 쌓고 6세기 초반 저항을 계속했다.
▶고려초 신라 멸망, 실직왕 부활= 실직(悉直)왕국은 기원전후 파조국(울진과 영덕 일부)을 병합했다. 그래서 지금의 행정구역으로 치면, 동해시, 태백시, 삼척시, 울진군, 영덕군이 그 영역이고, 백두대간 동쪽 동해안을 아우른다. 실직국의 수도는 삼척이었고, 울진은 왕의 피란 수도 역할을 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기록상으로는 실직국의 건국이 신라의 건국 보다 최소 200년 가량 빠르다. 기록이 없어서 그렇지, 그보다 훨씬 일찍 건국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일부 나무위키사전은 완전히 틀렸다.(실직곡국 102년 신라에 피합병) 기록상으로도 안일왕조는 6세기 전반기 까지 버텼고, 법흥왕이 실직국이 신라땅임을 선언했던 증표 즉 신라비는 524년에야 울진에 세워졌다.
울진 봉평리 신라비 전시관. 신라비는 524년 세워졌다. |
신라가 나라의 중심인 삼척에 신라비를 세우지 못했던 것은 당시 고구려가 남진정책으로 삼척지역을 차지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실직국의 북부지역인 동해시 사문동의 사문재는 고구려와 신라가 백마고지 쟁탈전하듯 각축전을 벌이던 ‘죽음의 문’으로 불리던 곳이다. 이후 ‘동창이 밝았으냐..’ 시조의 주인공 남구만 영의정이 낙향해 살던 사래긴밭의 망상초구마을 입구라서 죽을사는 선비사로 바뀌었다.
통일신라와 고려 때엔 ‘백두대간 산자락과 물을 낀 곳’이라는 의미를 품은 광역단체 척주(陟州)가 되었다.
고려가 신라를 멸망시킬 때, 고려 태조는 경순왕의 손자에게 실직군왕의 칭호를 내려, 실직국의 존재의 일깨우기도 했다. 신라 중심의 역사기술이 실직국 역사를 말살할 뻔 했다.
고려초까지 척주였다가, 11세기초부터 오십천-마읍천-전천(동해시) 3천(川)의 의미를 더해 ‘삼척(三陟)’으로 굳어졌다. 조선 후기까지 부사가 근무하던 광역단체였다.
▶동해선 개통에 지하에서 웃을 역사속 삼척 사람들= 고대사와 상고사에 대한 주변국, 국내 사대주의 사학자, 식민주의 사학자들의 왜곡이 심해지면서, 동예가 있었던 것으로 비정되는 강릉, 속초, 고성은 고대사에 대한 어떤 것도 손을 대지 못하는 상황이다. 옥저와 동예가 연해주, 사하공화국에 포진했다는 고증들도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실직국은 기원전 수세기부터, 기원후 5세기 초반까지 5개 지자체를 거느리며 건재했음은 분명하다.
한편 동해선 중, 삼척-포항 동해중부선 만 고속철 설비가 완비됐고, 삼척~동해, 동해~강릉, 포항~부전(부산) 철로는 고속철 시설을 만들어가게 된다.
관동제일루, 국내3대 국보 누각 삼척 죽서루의 설경. 죽서루 인근에 실직군왕릉이 있다. |
1년 이상 ITX 열차가 다니다가, 시설 보완을 마친 다음 2026년엔 최고시속 260㎞의 KTX-이음이 투입될 것으로 기대된다.
동해선(부산-강릉)의 삼척 개통식은 ▷신라 개국 이전 부터 강원남동부-경북 북동부를 장악하고 있던 실직국의 안일왕(인접국의 기습공격에 실직궁성인 삼척에서 급히 왕피천계곡 금강송군락지로 피신후 농성, 항전)도, ▷죽서루 인근에 능이 있는 실직군왕(경순왕의 손자, 마의태자의 조카)도, ▷눈치 보지 않고 우리의 역사를 당당하게 기술한 ‘제왕운기’의 이승휴도 ▷삼척에 살다 묻힌 이성계의 조상들도, ▷송강 정철(삼척 죽서루를 관동제일루라고 칭송한 관동별곡의 저자)도, ▷많은 업적을 남긴 조선 광역단체 삼척부의 허목 부사 까지, 실직국(지금의 동해-태백-삼척-울진-영덕)-고려의 척주-삼척시 개척자들이 모두 기뻐할 일이다.
이양무 장군 이후와 그 후손인 목조 이안사-익조 이행리-도조 이춘-환조 이자춘-태조 이성계가 ‘육룡’이다.
근처, 두타산 한 지류인 쉰음산 기슭엔 삼척 태생 고려 역사가이자 문신인 이승휴 선생이 ‘제왕운기’를 집필하던 천은사가 있다.
철저한 고증으로 당,송,명의 역사왜곡에 맞서며, 고조선-고구려가 지배하던 만주와 발해가 지배하던 연해주, 요하 동서, 홍산의 우리 역사를 당당하게 밝혔다. 제왕운기는 국내 3대 역사가 중 정권이나 대륙의 눈치를 보지 않고, 고증-실증된 것을 제대로 기록한 사서로 평가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