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례 변칙기동 시사엔 “2차 정점고도 없었다” 일축
軍 “北 보유한 어떠한 미사일도 요격할 준비 돼있다”
![]() |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7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미사일총국은 6일 신형 극초음속 중장거리탄도미사일 시험발사를 성공적으로 진행하였다”면서 “김정은 동지께서 화상감시체계로 참관하시었다”고 보도했다. [평양 노동신문=뉴스1] |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북한이 ‘화성-16나’ 개량형으로 추정되는 신형 극초음속 중장거리탄도미사일(IRBM) 시험발사에 성공했다고 주장한 가운데 우리 군 당국은 기만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7일 미사일총국이 전날 평양 교외에서 동북방향으로 신형 극초음속 IRBM 시험발사를 성공적으로 진행했다고 밝혔다.
또 미사일의 탑재된 극초음속활공비행전투부(HGV)가 음속의 12배에 달하는 속도로 1차 정점고도 99.8㎞, 2차 정점고도 42.5㎞를 찍고 예정된 비행궤도를 따라 비행하며 1500㎞ 계선의 공해상 목표 가상수역에 정확히 탄착했다고 주장했다.
북한의 주장대로라면 작년 4월 발사한 화성-16나에 비해 속도와 비행거리, 변칙기동 능력 등이 전반적으로 향상됐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이성준 합동참모본부 공보실장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이 주장하는 비행거리와 2차 정점고도 등은 기만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고 있다”며 “한미일이 분석한 사거리는 1100여㎞이고 2차 정점고도는 없었다”고 일축했다.
이 실장은 “기본적으로 북한은 선전·선동과 기만에 능한 조직”이라며 “선전선동부를 두고 있을 만큼 국가 자체도 그런 일들을 하고 있고, 기존에도 과장된 발표를 많이 한 적이 있다”고 꼬집었다.
이어 “(북한은) 작년 4월에도 신형 고체추진 극초음속미사일을 성능시험한 바 있는데 이의 연장선상의 미사일이라고 보고 있다”며 “구체적인 사항은 한미가 분석해봐야 확인되는 것들이 있다”고 말했다.
또 “극초음속미사일은 종심이 짧은 한반도 내에서는 성능 발휘가 어려울 것으로 판단한다”면서 “한미 연합 정보감시정찰(ISR) 자산과 미사일방어체계를 기반으로 북한이 보유한 어떠한 미사일도 요격할 준비가 돼있다”고 강조했다.
군 당국은 북한의 신형 극초음속 IRBM에 러시아의 기술이 들어갔을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신문은 이번에 시험발사한 극초음속 IRMB에 대해 엔진 동체 제작에 새로운 탄소섬유복합재료가 사용됐다면서 비행·유도조종체계에는 축적된 기술을 토대로 새로운 종합적이며 효과적인 방식을 도입했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이 실장은 “러시아와의 기술협력 가능성에 단정적으로 말씀드리기는 어렵다”면서도 “그러한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북한이 우크라이나전쟁 파병 대가로 러시아로부터 극초음속미사일 관련 신소재와 기술을 넘겨받았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다만 이 실장은 북한이 언급한 엔진 동체 제작에 적용한 새로운 탄소섬유복합재료에 대해서는 “재질에 대해서는 추가 분석이 필요하다”며 말을 아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