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인플레이션 진전 재확인 후 금리인하 재개 가능성 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 [로이터] |
[헤럴드경제=유동현 기자] 미국 금리인하 속도조절론이 부상하는 가운데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이 인하를 재개하기 위해서는 노동시장이 주요 변수라는 관측이 나온다.
이승훈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9일 보고서를 통해 “물가 전망에 기반한 연준 전망에 있어 가장 큰 위험은 의외로 노동시장이다”며 “연준의 인하 ‘재개’ 가능성이 커지려면, 향후 노동시장이 ‘점진적으로 냉각’ 돼야 한다”고 했다.
이 연구원은 “노동 수요가 증가하는 정도보다 노동 공급이 더 확충돼야 하며, 이 관점에서는 취업자수 신장세가 견고한 것이 바람직하다”고 했다. 트럼프 정책에서 가장 큰 리스크는 ‘이민자 대규모 추방’이라 꼽으면서 “노동수요가 늘어나는 환경에서 공급이 크게 줄면 노동 수급이 더 타이트해질 것이고, 임금을 자극하여 디스인플레이션(물가상승률 둔화) 저해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고도 설명했다.
7일(미국 현지시간) 발표된 서비스업가격지수와 구인 지표가 예상보다 탄탄하면서 인플레이션 우려에 따른 금리인하 지연 가능성도 커졌다. 미국 공급관리협회(ISM)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54.1로, 전월(52.1)과 전문가 전망치(53.5)를 모두 상회했다. 약 2년 만에 최고치로 치솟으면서 인플레이션 우려를 키웠다. 작년 미국 11월 구인 건수는 810만 건으로 지난 5월(823만 명) 이후 6개월 만에 가장 많았다.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770만 건)도 웃돌았다.
전날 공개된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에 따르면 연방준비제도(Fed·연준) 대부분 위원들이 인플레이션과 도널드 트럼프 당선인의 정책 불확실성으로 인해 기준금리 인하 속도조절 필요성을 지적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몇 개 분기 동안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도 강조됐다.
이 연구원은 “기조적 인플레이션을 측정하는 지표들을 보면, 헤드라인(Headline)과 코어(Core) 물가상승세의 확대와 달리 대부분의 지표가 느리지만 하향 안정화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면서 “인플레이션의 추세가 바뀌지는 않았기에 추가 금리인하 가능성이 열려 있다”고 내다봤다.
이 연구원은 “연준은 금리인하 착수 당시와 같이 디스인플레이션 진전을 재확인하고 나서 금리인하를 재개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4월 근원소비지출물가(Core PCE) 물가가 2.6% 내외 수준에 수렴하는 것을 확인한 이후 금리인하에 착수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다음 인하 시점을 6월로 예상하고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