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 개선형구급차 개발 완료…내년부터 전력화

충격흡수기능 반영, 음·양압장비 탑재
전원공급 없어도 의무장비 2시간 가동


국방부가 주행 안정성이 개선되고 응급처치와 감염병 대응 능력이 향상된 개선형구급차 개발을 완료했다. [국방부 제공]


[헤럴드경제=오상현 기자] 국방부가 주행 안정성이 개선되고 응급처치와 감염병 대응 능력이 향상된 개선형구급차 개발을 완료했다.

국방부는 13일 “기존 노후화된 구급차를 대체할 개선형구급차를 개발했다”며 “2026년부터 전력화를 시작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개선형구급차 연구개발사업은 국방부가 국방기술진흥연구소 전력지원체계연구센터와 민군기술협력 전력지원체계 개발사업으로 추진했다.

기아(주)와 함께 2021년부터 연구개발에 착수해 지난해 12월 육군에서 군 사용 적합 판정과 과제 종료를 위한 최종평가까지 완료했다.

기존 구급차는 화물운송용 5/4t트럭(K-311) 프레임에 구급을 위한 후방공간을 결합한 형태로 무게중심이 높았지만 이번에 개발된 개선형구급차는 소형전술차량의 저중심 차체 설계를 적용해 기동성과 안정성을 높였다.

또 주행 진동 등 충격 흡수기능을 반영하고 2층 베드 구성과 전동리프트 적용, 더 넓은 실내공간을 확보해 신속하고 안정적인 환자 이송이 가능해졌다고 국방부는 설명했다.

뿐만 아니라 음·양압장비를 탑재해 감염병 환자를 더욱 안전하게 보호하고 감염병의 확산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오염된 외부공기 유입을 차단해 화생방 위험지역에서도 환자를 보호할 수 있고 자체 발전능력을 갖춰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상황에서도 의무 장비와 냉난방 장치를 2시간 이상 가동할 수 있다.

국방부는 “개선형구급차는 내년부터 군에 전력화를 시작할 예정”이라며 “향후 해외수출 가능성도 높다”고 기대했다. [국방부 제공]


국방부는 “주행 안정성이 개선되고 응급처치 및 감염병 대응 능력이 향상된 구급차는 더욱 다양한 상황과 지역에서 운용이 가능하다”며 “내년부터 군에 전력화를 시작할 예정이며 향후 해외수출 가능성도 높다”고 기대했다.

전상배 국기연 전력지원체계연구센터장은 “국내 최신 의료장비를 탑재한 개선형구급차는 응급환자의 후송과 응급처치가 가능하도록 개발해 군의 전력 강화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며 “다양한 군수품을 지속적으로 연구개발 할 것”이라고 말했다.

엄은성 국방부 국방연구개발총괄과장은 “산업통상자원부와 긴밀하게 협조해 민과 군이 함께 활용 가능한 군수품을 지속적으로 개발 확대할 것”이라며 “군 전력화뿐 아니라 민간에 확대 적용하거나 수출을 통해 산업적 파급력이 확산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