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탄탄한 고용탓 인플레 우려 커져
국채수익률 상승, 트럼프2기에 부담
미국의 탄탄한 고용이 시장을 흔들고 있다. 재차 고개를 든 인플레이션 우려가 시장에 짙은 안개를 몰고 오면서 변동성 관리가 어느 때보다 중요해지고 있다.
앞서 지난 10일(현지시간) 미 노동부는 지난해 12월 비농업일자리가 전달보다 25만6000명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2~3분기 월평균 증가폭(15만명)과 시장 전망치(15만5000명)을 크게 웃도는 것이다. 같은 달 실업률은 4.1%로 전달(4.2%)보다 하락했다.
좋은 경제지표가 시장에는 나쁜 소식이다. 견고한 노동시장은 미국 경제가 여전히 활발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곧 인플레이션이 얼마나 빨리, 많이 둔화될 수 있을지에 대한 의구심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 때문에 미 국채 10년물은 단숨에 7bp(1bp=0.01%포인트) 오르며 재차 4.7% 선을 넘어 4.8%선까지 바짝 다가섰다. 지난해 9월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기준금리 인하를 시작한 뒤 3차례 연속 인하했지만 시장금리는 오히려 이후 1%포인트 이상 급등했다.
이는 전례가 없는 기현상으로, 시장이 마지노선으로 여기는 5.0%를 넘을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상황이다. 급기야 뱅크오브아메리카와 도이치뱅크는 올해 연준이 금리인하를 하지 않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특히 오는 15일 발표되는 소비자물가지수(CPI)에 따라 시장의 전망이 급변할 수 있다.
뱅크오브아메리카의 아디티아 바브 이코노미스트는 “연준이 선호하는 인플레이션 지표인 CPI가 다시 높게 나오거나 인플레이션 기대치가 상승하면 금리 인상이 다시 테이블 위에 오를 수도 있다”고 밝혔다. 여기에 오는 20일 정식 취임하는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정책 변수도 무시할 수 없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공언한 관세 강화, 감세, 규제 완화는 모두 정부 적자를 늘리고 인플레이션을 가속화할 수 있는 정책들이다. 긴축 재정은 아예 고려조차 되지 않고 있다.
정부 부채 증가 일변도인 트럼프 당선인의 정책은 지금까지는 성장 가속화와 그에 따른 세수 증대 논리로 시장을 설득해왔다. 하지만 미 국채 수요가 불안해진 상황에서 위험을 감수하고서라도 성장을 통해 모든 것을 해결할 수 있다는 주장은 자칫 시한폭탄이 될 수 있다. 때문에 시장에선 오는 15일부터 차례로 실적을 발표하는 미 대형은행들이 미국 경제에 대해 어떤 진단을 내리고 전망을 할지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다.
한국 증시 역시 미 국채 수익률 상승과 ‘트럼프 불확실성’ 등 대외 요건에서 자유롭지 않다.
코스피는 연초 이후 외국인 귀환과 함께 4% 이상 상승했다. 지난해 부진을 면치 못하며 과거 글로벌 금융위기 수준까지 밸류에이션이 낮아지자 저점 매수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적어도 바닥이 어디인지는 외국인이 확인시켜준 셈이다.
하지만 한국 시장이 다른 주요국 증시 대비 확고한 매력을 가진 것은 아니란 점에서 미국발(發) 변동성은 국내 증시도 흔들어 놓을 수 있다. 무엇보다 이익에 대한 기대가 여전히 하락하고 있단 것은 부담이다.
톰슨로이터에 따르면 코스피의 12개월 선행 주당순이익(EPS) 추정치는 최근 한 달 사이 0.9% 하락해 대만 가권지수(-0.2%), 홍콩 항셍지수(-0.3%) 등에 비해 크게 떨어졌다. 반면 미국 S&P500과 나스닥은 각각 0.6%, 1.1% 증가했다.
김성노 BNK투자증권 연구원은 “글로벌 주식시장의 조정국면에서 코스피가 연초 강한 상승세를 기록하는 것은 추세적 상승보다는 낙폭과대에 따른 자율반등으로 봐야 한다”면서 “경기침체 우려가 커지고 삼성전자를 필두로 어닝 쇼크가 지속되고 있어 추세적 상승으로 보긴 어렵다”고 밝혔다. 김우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