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혁수 LG이노텍 CEO “글로벌 빅테크향 FC-BGA 양산 돌입”

韓·베트남 이원 자동화 공장 전략
스마트팩토리로 기술·가격 경쟁력↑



LG이노텍이 지난해 말 플립칩 볼그리드 어레이(FC-BGA) 대량 양산을 시작했다. 2022년 사업 시작 후 약 2년 만에 글로벌 반도체 기업을 고객사로 확보, 본격적인 사업 확대를 위한 포문을 열었단 평가다.

문혁수(사진) LG이노텍 CEO는 8일(현지시간) CES 2025 현장에서 기자와 만나 “최근 북미 빅테크 기업향 FC-BGA 양산을 시작했다”며 “다른 여러 글로벌 빅테크 기업과도 개발 협력을 추진하고 있는데, 내년부터는 (그들의 제품도) 양산을 시작하는 것을 목표로 핟고 있다”고 말했다.

FC-BGA 시장에서 비교적 후발주자인 LG이노텍은 의미있는 수주를 이어가며, FC-BGA를 조 단위 사업으로 육성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AI/서버용 등 하이엔드(High-end) FC-BGA 시장에도 단계적으로 진입하는 등 균형 있는 사업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고, 중장기 성장동력을 확보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문 CEO는 LG이노텍 FC-BGA의 차별화 요소로 ‘스마트팩토리’를 꼽으며 “초기 투자비는 들지만, 수율을 훨씬 높이며, 기술과 가격 경쟁력을 동시에 갖출 수 있도록 한다”고 강조했다.

LG이노텍은 구미 4공장을 업계 최고 수준의 AI/자동화공정을 갖춘 ‘드림 팩토리(Dream Factory)’로 구축했다. 디지털제조 혁신으로 FC-BGA 공정 시간을 단축하고 수율을 끌어올린다는 전략이다.

또 다른 주요 사업인 카메라 모듈에서는 전략적 글로벌 생산지 운영과 공장 자동화로 원가 경쟁력을 확보해 중국 업체들의 공세에 맞선다. 그는 “글로벌 경쟁 심화에 대비해 베트남, 멕시코 등의 해외 공장 활용을 준비하고, DX 적용을 통한 공장 자동화에 주력했다”며, “감가상각이 끝나고 베트남 공장 증설이 올해 완공돼 가동에 들어가면, 카메라 모듈 사업의 원가 경쟁력이 높아지며 수익성이 제고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베트남 공장은 기존 스마트폰용 레거시(Legacy) 카메라 모듈 제품의 생산 핵심 기지로, 국내 사업장은 고부가 부품 위주로 이원화해 운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LG이노텍은 베트남 공장의 카메라 모듈 생산능력(CAPA)이 2배 이상 확대돼 고객사의 대규모 물량을 보다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국내의 경우, 마더 팩토리로서 R&D를 비롯해 고부가 카메라 모듈 및 신규 애플리케이션용 광학부품 생산에 집중한다.

라스베이거스=김민지 기자

Print Friend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