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증시 급락…환율 1470원대 복귀
반도체·조선株 하락, 제약株 상승
![]() |
13일 오전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 현황판에 코스피 지수가 표시되고 있다. 이날 코스피는 2,500선에서 약세로 출발했다. 이날 오전 9시 2분 현재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3.69포인트(0.15%) 내린 2,512.09를 나타냈다. [연합] |
[헤럴드경제=유동현 기자] 코스피가 13일 미국 고용지표 ‘낌짝 강세’로 인한 금리인하 기대감 후퇴와 환율 급등에 장 초반 2500대에서 약세 흐름을 보이고 있다.
이날 오전 9시 38분 현재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8.29포인트(0.33%) 내린 2507.49을 나타냈다. 지수는 전장 대비 7.63포인트(0.30%) 내린 2508.15로 출발한 뒤 2500대에서 움직이고 있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413억원, 775억원의 매도 우위로 지수에 하방 압력을 가하고 있다. 개인은 2086억원을 순매수 중이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8.2원 오른 1473.2원에 거래를 시작했다.
지난주 말(10일) 뉴욕증시는 12월 미국 비농업 부문 고용지표의 예상치 상회에 금리인하 기대감이 꺾인 탓에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가 1.63% 내리는 등 주요 지수가 급락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1.54%, 나스닥종합지수는 1.63% 내렸다.
미국의 지난해 12월 비농업 고용은 전달 대비 26만6000명 늘었다. 이는 시장 예상치인 16만명을 크게 웃돈 것으로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인하 명분이 약해졌다는 인식을 키우며 증시 투자심리를 악화시켰다. 반면 달러 및 채권 금리는 급등했다.
엔비디아(-3.00%), AMD(-4.76%)를 비롯한 인공지능(AI) 및 반도체 관련주도 동반 하락하면서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도 2.42% 급락했다.
이 같은 흐름이 지난주 상승세를 탔던 국내 증시에 찬물을 끼얹는 분위기다.
조준기 SK증권 연구원은 “고용 서프라이즈에 이어 미국 실적시즌, 연준 위원 연설,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한국 금융통화위원회 등 탑다운 이벤트가 끊임없이 이어지기에 지수 방향성을 예상하는 것의 의미가 크지 않다”며 “변동성을 감내해야 하는 구간에 돌입했다”고 했다.
삼성전자(-0.90%), SK하이닉스(-0.98%), 현대차(-1.33%), 기아(-0.47%) 등 시가총액 상위 종목이 약세를 보이는 가운데 HD현대중공업(-4.78%), HD현대미포(-4.33%), 삼성중공업(-4.16%) 등 조선주가 일제히 내리고 있다.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를 앞두고 삼성바이오로직스(3.40%), 셀트리온(0.16%)에는 자금이 유입되고 있으며, KB금융(1.71%), 메리츠금융지주(2.11%) 등 금융주도 오르고 있다.
같은 시각 코스닥지수는 전장보다 1.72포인트(0.24%) 내린 716.17이다.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3.91포인트(0.54%) 내린 713.98으로 시작했으나 낙폭을 상당부분 회복했다.
코스닥시장에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92억원, 21억원어치를 순매도하는 가운데 개인은 164억원 매수 우위다.
시총 상위 종목 중 휴젤(4.04%), 실리콘투(3.30%), HLB(2.12%), 셀트리온제약(1.93%) 등이 오르고 있다.
![]() |